경기도청 전경.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청 전경.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도내 외국인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정책 수립에 나섰다.

경기도는 2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와의 정책협의회를 통해 외국인 주민의 증가와 변화에 따른 정책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이민자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회는 외국인 주민의 증가와 고령화, 1인 가구 확대 등 구조적 변화에 따른 정책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올해 1월 발간한 '경기도 체류 외국인 인구 구성 변화에 관한 동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외국인들은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고용불안 등이 두드러져 외국인 정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 '2023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는 전체 외국인 주민 245만9542명 중 경기도에 32.9%인 80만9801명이 거주하고 있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이런 현실을 반영해 외국인 주민의 주거·교육·복지·일자리 등 외국인 정책과 이민사회 문화공존을 위한 이민사회국을 지난해 신설했다. 올해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도내 거주 이민자들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이민자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두석 경기도 경제실장은 "체류 외국인을 단순한 '방문자'가 아닌 '지역사회 구성원'"이라며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 정착과 사회통합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