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은 서울-세종고속도로 교각 붕괴 사고에 대해 전진형 장비를 후진시키는 과정에 발생한 것으로 보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진은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서울-세종고속도로 교각 붕괴 현장에서 경찰과 국과수, 산업안전공단 등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경찰은 서울-세종고속도로 교각 붕괴 사고에 대해 전진형 장비를 후진시키는 과정에 발생한 것으로 보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진은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서울-세종고속도로 교각 붕괴 현장에서 경찰과 국과수, 산업안전공단 등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지난 2월 10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 안성시 서울-세종고속도로 교각 붕괴 사고는 '전진형 장비'를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남부경찰청은 7일 "전진형 빔론처(거더를 인양하거나 옮기는 장비)로 백런칭을 하면서 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빔런처는 '전진형'과 '왕복형' 두 가지로 나뉜다. 해당 공사에는 외국 회사가 국내에서 제작한 약 400여t(톤) 규모 전진형 빔런처를 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진형은 왕복형에 비해 설치 기간이 짧고 장비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전진형 빔런처도 후진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지만 단순히 후진 중 사고가 났는지, 후진하면서 공사를 하다가 사고가 난 건지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해당 사고와 관련해 시공사인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 3명과 호반산업 관계자 1명, 하도급사 장헌산업 관계자 1명, 발주처인 한국도로공사 관계자 2명 등 모두 7명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했다. 부상자 6명 중 4명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앞서 지난 2월25일 오전 9시49분쯤 경기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서울-세종고속도로 9공구(천안-안성 구간) 청용천교 공사 현장에서 교각 위 상판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로 현장에 있던 작업자 10명이 추락 후 매몰돼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