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 쇼크'… 아이폰·갤럭시 40% 오르면 통신비 부담은
갤럭시 가격 50~200달러, 아이폰 가격 20~40% 상승 예상
김성아 기자
4,976
공유하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이 전 세계 스마트폰 가격에 '쇼크'를 예고하고 있다. 중국·베트남·인도 등 주요 생산국에 최고 104%에 달하는 고율 관세가 부과되며 삼성전자와 애플 등 글로벌 제조사의 생산비가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 휴대폰 가격이 최대 40%까지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시장에서도 가격이 인상된다면 이는 곧 가계 통신비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9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체 스마트폰 생산량의 약 50%를 베트남에서, 27%를 인도에서 생산하고 나머지 약 20%의 물량을 한국·브라질·인도네시아 등에서 제조하고 있다.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라 지난 5일부터 거의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관세가 발효됐고 이날부터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된다. 베트남산 제품에는 46%, 인도산 제품에는 26%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감소로 스마트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투자증권의 채민숙 연구원은 "삼성전자 대미 스마트폰 수출분 전체가 베트남에서 생산된다고 가정할 경우 지난해 기준 MX(모바일 경험) 사업부 영업이익률이 9%에서 3%로 6%포인트(p)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관세 부과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제품 가격이 50달러에서 200달러, 혹은 그 이상 인상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현재 삼성전자 미국 홈페이지에서 1959달러(약 281만원)에 판매하는 갤럭시Z폴드6는 관세 40%가 반영되면 2744달러(약 394만원)까지 오를 수 있다.
애플 역시 관세 폭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의 약 80%를 중국에서, 5~7%는 인도에서 생산해 왔다. 최근에는 베트남 내 공급업체를 35곳으로 확대하며 베트남을 새로운 생산 허브로 부상시켰다. 하지만 트럼프는 중국에 기존 관세 20%에 상호관세 84%를 추가해 총 104%로 최대 규모의 관세를 때렸고 베트남산 제품에는 46%, 인도산 제품에는 26%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아이폰 가격이 최소 20%에서 많게는 4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로이터는 상호 관세가 적용될 경우 애플 아이폰16 최상위 모델(프로 맥스)의 미국 내 판매 가격이 현재 1599달러(약 233만원)에서 최대 2300달러(약 336만원)까지 약 43%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애플이 아이폰 가격을 올리지 않을 경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며 "설령 애플이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더라도 수년이 걸릴 뿐 아니라 중국에서는 스마트폰 한 대당 30달러에 불과한 조립비가 미국에선 3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어 비용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생산비 증가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와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관세 영향으로 미국 시장에서 가격 인상에 나설 경우 국내 시장에서도 가격 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4분기 기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과 애플이 합쳐 9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 제품의 가격 인상은 국내 소비자 전반에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러한 스마트폰 가격 인상이 단말기 비용을 넘어 가계 전체 통신비 전반에 부담을 키운다는 점이다. 한국은 단말기 가격과 통신요금이 결합된 요금제 구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통신요금이 낮아지더라도 단말기 가격이 오르면 체감 통신비는 줄어들지 않는다.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통신비처럼 체감 물가와 직결되는 비용이 늘어나면 가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 실제로 가계 통신비는 전체 소비지출의 약 5% 안팎을 차지하고 있어 스마트폰 가격 인상은 특히 서민층을 중심으로 적잖은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인건비와 원자재 가격이 함께 오르면서 스마트폰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그 속도도 가팔라질 수 있다"며 "통신요금은 가격이 오르더라도 사용을 줄이기 어려운 필수재 성격을 갖고 있어 결국 스마트폰 가격 인상은 가계의 실질 부담을 더욱 키우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는데 소비자들이 치솟는 가격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