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의성읍 실내체육관에 도착해 산불 대응에 힘쓰고 있는 경북도 관계자를 격려하고 있다./사진=황재윤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가 24일 오후 의성읍 실내체육관에 도착해 산불 대응에 힘쓰고 있는 경북도 관계자를 격려하고 있다./사진=황재윤 기자



지난달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경북 북부 대형산불 피해지역을 방문했을 당시 경호문제 때문에 진화작업이 일시적으로 지연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9일 <머니S> 취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안 기각으로 복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첫 공식일정으로 경북 북부 대형산불 피해 지역인 의성군을 찾았다.

그러나 한 총리 방문 직후 "경호를 이유로 진화차량의 진입이 일시적으로 통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로 <머니S>가 당시 현장 영상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소방차량이 진입로에서 대기 중인 장면과 경찰 또는 경호 인력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접근을 통제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익명을 요구한 현장 관계자 A씨는 <머니S>에 "총리 동선이 확보될 때까지 진입하지 말라는 지시가 내려왔다"고 말했다.

의성읍에 거주하는 B씨는 "불은 번지고 있는데 소방차량이 멈춰 있었다"며 "산불 진화가 급한데 정말 답답했다"고 말했다.


지난 3월 24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의성 방문 당시 경찰로 추정되는 인력에 의해 차량 진입이 통제되고 있다. 해당 영상을 보면 소방차량이 통제된 모습./사진=황재윤 기자
지난 3월 24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의성 방문 당시 경찰로 추정되는 인력에 의해 차량 진입이 통제되고 있다. 해당 영상을 보면 소방차량이 통제된 모습./사진=황재윤 기자



일각에서는 이번 사안을 두고 "총리에게 과도한 책임을 묻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국무총리비서실은 일정만 조율할 뿐 현장 작전을 직접 지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장 경호와 동선 통제는 경찰과 대통령경호처의 권한이다. 총리 차량의 통과를 위해 진화 차량이 멈춘 상황이 있었다면 그 판단은 실무 지휘선, 즉 경호 라인의 판단과 작전 매뉴얼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는 설명했다.

이에 대해 총리실은 <머니S>에 "대통령 권한대행의 의성군 산불현장 방문 당시 위중한 상황을 고려해 최소한의 인원과 차량으로 이동했고 현장 불편이 없도록 최대한 조치했다"고 해명했다.

특히 "의성군, 행정안전부 등 관계기관을 통해 소방차와 진화 차량 통제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며 "경호처는 행사 시 소방차, 구급차 등 긴급자동차에 대해 경호 차량보다 우선해 먼저 통행을 보장하는 경호 매뉴얼을 오랜 기간 시행해 왔고 의성 산불현장 방문 시에도 이 매뉴얼에 따라 업무를 수행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