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의 시위 모습. /사진제공=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의 시위 모습. /사진제공=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가 정부와 미군의 무책임한 태도를 규탄하며 오는 21일부터 동두천 보산동 미2사단(캠프 케이시) 앞에서 무기한 릴레이 1인 시위에 돌입한다고 15일 밝혔다.


범대위 측은 "오죽 억울하면 이러겠느냐"라며 정부와 미군의 무관심과 소극적인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2014년 동두천에 미군기지가 잔류하기로 결정됨에 따라 정부가 약속한 보상이 10년이 넘도록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범대위는 "주한미군이 걸산동 신규 전입자 패스(부대 통행 허가증) 발급을 제한하여 대한민국 국민의 헌법상 권리인 거주 이전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진출입 도로 부재로 인해 기존 주민들의 주택 및 토지 매매 등 재산권 침해까지 발생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미군의 부당한 조치가 걸산동으로의 신규 전입을 막아 결국 지역 소멸을가속할킬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심우현 범대위 위원장은 "제공 면적이 3%에 불과한 평택에는 특별법에 따라 수조 원에 달하는 예산 지원과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면서, 2014년 우리 동두천을 달래기 위해 했던 약속은 왜 지키지 않는 것이냐"며 정부의 이중적인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7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국가가 계속해서 우리 동두천을 희생양으로 삼으려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울분을 토했다.

심 위원장은 10년 전 정부 약속의 즉각적인 이행과 함께 장기 미반환 공여지 지원 특별법 제정, 평택과 동등한 수준의 19조원 예산 지원 및 대기업 유치 지원, 동두천 국가산업단지 정부 주도 추진, 걸산동 신규 전입 주민 패스 발급 등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동두천시는 대한민국 안보를 위해 지난 70년간 미군 주둔을 묵묵히 감내해 온 대표적인 지역이다. 많은 이들이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모두 이전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 동두천시는 시 전체 면적의 42%에 달하는 핵심 지역을 무상으로 미군에 제공하며 연평균 3243억원에 달하는 주둔 피해를감수하고 있다다. 이를 70년으로 환산하면 피해액은 무려 25조원을 넘어서는 막대한 규모이며, 현재도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공여지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