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 쓴 민주주의… 독재에 맞선 국민의 저항 [오늘의역사]
김다솜 기자
공유하기
|
1960년 4월19일, 부정 선거에 분노한 국민이 이승만 독재정권에 항거하며 거리로 나섰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전환점을 맞은 4·19혁명은 국민이 직접 나선 대표적 시민혁명으로 평가된다.
4·19혁명으로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이 물러나고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중요한 걸음을 내딛게 됐다.
|
역사상 가장 조직적·대규모로 이뤄진 3·15 부정선거
4·19혁명의 시작은 1960년 3월15일 실시된 제4대 대통령 선거였다. 자유당은 이승만을 대통령에, 이기붕을 부통령 후보로 내세운 후 이들을 당선시키기 위해 대규모 부정행위를 벌였다. 투표용지를 바꾸고 경찰이 시민을 억압하며 공정하지 않은 선거를 치렀다. 이에 국민은 분노했고 특히 마산에서는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시위가 이어졌다.마산에서 시위 중이던 고등학생 김주열군은 실종된 후 4월11일 시신으로 발견됐다. 김주열군 시신의 눈에는 최루탄이 눈에 박힌 상태였다. 이는 경찰의 강경 진압을 방증하는 증거가 됐다.
|
국민이 만든 민주주의의 시작
김주열군 사건을 계기로 전국에서 대규모 시위가 확산했다. 4월18일에는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위를 벌였고 이튿날인 4월19일에는 전국 곳곳에서 수만 명의 학생과 시민이 거리로 나왔다. "부정선거 무효"를 외치는 목소리는 점점 커졌고, 경찰은 총을 쏘며 강하게 진압했다. 당시 서울에서만 100여명의 사망자와 수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국민의 강력한 저항과 정치적 압력에 직면한 이승만 당시 대통령은 4월26일 하야를 발표하고 하와이로 망명했다. 이기붕 당시 부통령과 가족은 4월28일 집단으로 극단적 선택했다. 이에 따라 자유당 정권은 붕괴했고, 이후 허정 과도정부가 수립되며 민주화 과정이 시작됐다.
4·19혁명은 부정과 불의에 맞선 국민의 힘이 독재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입증한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이후 1961년 5·16군사정변까지 이어지는 정치적 격동기를 여는 계기가 됐으며 대한민국 헌정사에서 중요한 역사로 기억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다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