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날을 맞아 광주 지역 장애인 활동가들이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행진했다. 사진은 18일 광주 서구 광천동에서 장애인 차별 철폐연대 활동가들이 장애인 권리 확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후 행진한 모습. /사진=뉴스1
장애인의 날을 맞아 광주 지역 장애인 활동가들이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행진했다. 사진은 18일 광주 서구 광천동에서 장애인 차별 철폐연대 활동가들이 장애인 권리 확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후 행진한 모습. /사진=뉴스1


장애인의 날(매년 4월20일)을 맞아 광주 지역 장애인 활동가들이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400여 명이 3km를 행진했다.

18일 뉴스1에 따르면 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이날 광주 서구 광천동 종합버스터미널 광장에서 장애인 권리 확대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에는 민형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소아 변호사, 전승일 광주 서구의회 의장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광주 장애인 활동가들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요구했다. 이원심 활동가(50대)는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싶어 지난해 결국 사이버대에 입학했다"며 "휠체어를 탄 채 대학에 갔다면 엘리베이터가 없는 강의실 접근은 어려웠을 것이고 장애인 화장실에 가기 위해 먼 길을 돌아가야 했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장애인들도 졸업하고 취업해 지역사회에서 평범하게 살고자 하는 게 욕심이 아닌 날이 왔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소아 변호사는 "광주시는 고속·시외버스 휠체어 리프트 도입에 관련한 예산을 세워야 한다"며 "매년 신차를 도입하는 금호고속도 장애인 휠체어 리프트를 도입하라는 판결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형숙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회장은 "이동권은 기본적인 권리다. 휠체어 리프트 장착과 관련해 광주시와 금호고속이 예산이 없는 게 아니라 의지가 없는 것"이라며 "장애인 이동권이 보장돼야 사회적 관계도 맺고 교육도 받고 노동도 한다"고 설명했다.

기자회견을 끝낸 후 행사에 참석한 400여명은 광주 종합버스터미널부터 광주시청까지 3km가량 행진했다. 장애인 참가자들이 휠체어를 타고 앞장섰고 비장애인 참가자들은 현수막과 깃발을 펼친 채 뒤따랐다. 이들은 행진을 마친 후 광주시에 장애인들에 대한 이동권·노동권·교육권 등에 대한 보장을 담은 8대 요구안을 전달했다.


정성주 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대표는 "7년째 해마다 종합버스터미널에 와서 이동권 보장을 외쳤지만 아직도 탈 수 있는 고속버스가 한 대도 없다"며 "꼭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사회가 오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