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사진=뉴스1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교육부 장관이 5일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고 못박았다. 5월 7일로 예정된 의과대학생 복귀 마감 시한을 앞두고 정부는 강경 기조를 재확인하며 불참 학생에 대해 원칙대로 학사처리를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권한대행은 이날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서한을 통해 "정부는 학생 복귀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유급 또는 제적 이후 복귀 시 학사유연화 등을 통해 구제될 수 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이미 마감된 4월 30일까지 복귀하지 않은 학생은 학칙에 따라 유급 또는 제적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40개 의과대학에 5월 7일까지 유급 및 제적 대상자 명단을 제출하라고 요청한 상태다. 해당 시점까지 복귀하지 않은 학생은 유급 또는 제적 처리되며 이는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이 권한대행은 "제적 등으로 인해 발생한 결원은 편입학 등으로 충원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겠다"며, "복귀한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수업 지원과 보호 조치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복귀를 망설이는 학생들에겐 "확인되지 않은 소문에 기대어 미래를 걸지 말라"는 당부도 덧붙였다.

경찰도 같은 날 별도 입장문을 내고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조직적인 수업 복귀 방해 행위에 대해 강력히 경고했다.


경찰청은 "학생회를 중심으로 수업불참을 강요하거나, 수업거부 결의서 작성을 유도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며 "현재까지 10건의 수사를 진행 중이고 2명을 검찰에 송치하고 5명을 추가로 검거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불법행위를 지시하거나 주도한 배후 세력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해 구속수사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실제 일부 대학에서는 복귀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건양대, 순천향대, 을지대 등에서는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상당수 학생들이 수업 복귀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을지대는 제적 대상 299명 중 280명이 이미 온라인 강의를 수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오는 7일 최종 복귀자 명단을 기준으로 2025학년도 의대 교육대상자를 확정하고 이후에는 본격적인 학사 운영 정상화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