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성 고집하는 김문수 '등록 후 단일화'… 한덕수의 리스크는
단일화 시점·책임 놓고 이견…한덕수에 부담 전가
김서연 기자
공유하기
![]()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단일화 시점을 오는 16일 이후로 요구하면서 시점이 지연될 시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지게 될 리스크가 주목된다. 본후보 등록 이후에 단일화가 결정될 시 한 후보는 기호 불이익, 선거운동 시간 단축, 실질적 비용 부담을 지게 된다.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두 후보는 단일화 합의를 위한 두 번째 회동을 가졌지만 시점과 책임 분담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한 후보는 본후보 등록시한인 오는 11일을, 김 후보는 본후보 등록 이후인 오는 16일 이후를 요구했다.
공직선거법상 대통령 선거 후보 등록은 오는 10~11일 이틀간 진행된다. 한 후보가 무소속으로 본 후보에 등록하면 선관위 기호 부여 규정상 순번이 밀려 기호 후순위를 부여받을 수밖에 없어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당 기호 1·2번이 상징성 면에서 압도적인 국내 선거에서 기호 후순위는 사실상 '낙선 확정표'로 여겨진다.
무엇보다 본선까지 남은 선거운동 기간이 약 12일에 불과하다는 것도 리스크다. 물리적 단일화는 가능하더라도 세력 결집·조직 통합·정책 연대 등 실질적 야권연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간 '반이재명' 정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던 중도보수 '빅텐트' 구상도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
공직선거법상 대통령 선거 본후보로 등록하려면 기탁금 3억원을 납부해야 한다. 여기에 법정 선거운동 기한(22일) 중 대부분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만큼 조직 운영 및 여론전에서도 불리하다. 단일화 시점이 후보 등록 이후로 설정될 경우 한 후보는 단일화 결과에 상관없이 해당 비용을 감수한 채 사퇴하거나 양보하는 구조가 된다.
정치권 일각에서 김 후보에게 실질적 단일화 효과 없이 단일화 논의만 끌고 가면서 정치적 명분을 쌓으려는 전략이라는 비판을 제기한 배경이다. 김 후보 입장에서는 '끝까지 단일화를 시도했다'는 정치적 이미지를 획득하고 단일화 실패에 대한 책임도 피할 수 있는 셈이다.
한 후보는 "지금 이 위기 상황에서 우리가 하루, 한 시간, 1분이라도 더 기다릴 수가 없다. 우리가 이겨야 한다. 당장 오늘 저녁, 내일 아침에 결정을 내리는 것이 국민에 대한 예의"라며 "피곤함을 더하는 방식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김 후보는 "정당 정치의 문법에 따라야 한다"고 강조하며 정당성 측면을 강조했다. 그는 "나는 국민의힘 경선을 거쳐 공식적으로 선출된 정당 후보다. 정당엔 당헌·당규가 있고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절차가 있다. 그런 절차 없이 단일화를 요구하는 건 국내외 정당 정치에서 유례가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 후보는 정당 공천을 받은 후보로서 당헌 74조에 따른 당무 우선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을 선관위에 요청한 상태다. 아울러 서울남부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지위를 확인하는 취지의 가처분 신청을 접수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여론조사를 진행하는 등 전당대회 개최 움직임을 보이자 이를 막기 위한 조치로 가처분을 신청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