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굣길 안전을 대폭 개선한 초등학교 앞 노란색 횡단보도. /사진제공=수원시


수원시가 어린이 보호구역과 통학로의 교통안전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24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했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지난 2년간 사고 발생 후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안전한 등굣길 조성을 위한 대대적인 개선 작업에 박차를 가했다. 과속 방지턱과 횡단보도를 결합한 형태의 고원식 횡단보도를 비롯하여 무인 단속 카메라, LED 바닥 신호등, 노란 신호등 등을 설치하며 스마트 안전 인프라를 확충했다. 이는 차량의 속도를 자연스럽게 줄이고, 운전자가 보행자의 존재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예방 중심의 교통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교통안전 대책도 한층 강화했다. 지난 3월에는 교통정책과를 비롯해 공무원, 경찰 등으로 '교통안전시설 상시 점검반'을 구성해 교통안전시설을 체계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들은 교통약자 보호구역 241곳을 비롯해 교통안전시설, 자전거도로 등 총 11종의 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시설물은 즉시 보완·정비한다. 24시간 상시 출동 체계를 갖추고,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 안전조치도 신속하게 수행하고 있다.


4대 전략, 5대 핵심과제, 6대 연계 과제로 이뤄진 통학로 안전 종합대책인 '4·5·6 계획'도 추진한다. 보행안전지도사 확대, 어린이보호구역 확대·정비 등 5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교통안전시설 상시점검반 운영, 대각선 횡단보도 확대, 시인성 개선 등 연계 과제를 유기적으로 추진 중이다.

또 도시 전역의 보행 안전 강화를 위해 교차로 구조 개선과 우회전 보행자 보호 대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통학로 개선을 넘어, 시민 전체의 보행 안전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이다. 경찰과 협력해 우회전 차량과 보행자 간 충돌을 예방하는 맞춤형 설계를 확대하고 있다. 횡단보도를 교차로에서 5~7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해, 운전자가 보행자를 조기에 인식하고 정지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했다.


'보행자 우선 신호체계 도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우회전 차량의 비보호 통과를 제한하고, 보행자가 횡단하고 있으면 차량은 반드시 정지하도록 신호 시스템을 정비하고 있다. 활주로형 횡단보도 표지병, LED 표지판 등 시설을 확대해 운전자 시인성도 높였다. 지난 4월 30일, 수원시는 수원서부·중부·남부경찰서, 수원교육지원청, 한국도로교통공단 경기지부 등 8개 기관과 함께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한 아이의 한 걸음을 지키는 일이 도시 전체의 품격을 높이는 일"이라며 "교통안전 인프라를 꾸준히 개선해 지속이 가능한 안전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