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9년 6월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19.6.29/뉴스1 ⓒ 로이터=뉴스1 ⓒ News1 포토공용 기자


(워싱턴·베이징=뉴스1) 류정민 정은지 특파원 = 양보 없는 관세 전쟁을 벌였던 미국과 중국이 14일부터 상대국에 대한 고율이 관세를 90일간 일시적으로 유예한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전날 홈페이지 공고를 통해 14일 낮 12시 1분(중국시간·미국 동부시간 14일 0시 1분)부터 미국산 수입 물품에 대한 관세 인상 조치를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향후 90일간 그간 부과했던 125%의 대(對)미국 추가 관세는 10%로 낮아진다.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 등으로 더해졌던 91%포인트(p)의 관세는 적용을 중단하고, 미국이 중국에 처음 부과했던 만큼의 34% 보복 관세 중 10%만 적용하고 24%p는 90일 동안 시행을 멈추는 방식이다.


미국 역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추가로 부과했던 145%의 대(對)중국 관세율을 10%의 기본 상호관세와 20%의 펜타닐 관세만 남겨두고 90일간 30%만 적용한다.

당초 미국은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처음에는 34%(기본 10% 포함)로 발표했지만, 중국이 보복 조치에 나서자 50%p를 올려 84%로 높였고, 재차 125%까지 올렸다. 미국은 자동차(25%), 철강·알루미늄(25%) 등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한다.


이번 관세 인하는 미중 양국이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벌인 고위급 협상에서 합의한 것이다. 중국은 미국에 대한 각종 비관세 보복 조치도 철회할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이번 중국과의 휴전 합의를 '완전한 재설정'(total reset)이라고 자평하먼서 "주말에 시진핑 국가주석과 통화할 수도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특히 대중국 관세가 145%로 돌아갈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디커플링(비동조화)으로, 왜냐하면 아무도 구매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면서 "저는 결국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시 주석은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중남미 및 카리브 국가 정상들과의 회의에서 "일방주의와 패권주의는 결국 고립을 자초할 뿐"이라면서 고율의 관세를 앞세워 공세를 폈던 트럼프 행정부를 여전히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 주석은 "지금 세계는 100년에 한 번 있을 변화를 겪고 있으며, 복합적인 리스크가 얽히고 겹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며 "단결과 협력을 통해서만이 세계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글로벌 발전과 번영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양국은 90일간 세부적인 내용을 두고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지난 제네바 협의 때와 같이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여하고, 중국 측에서는 허리펑 국무원 경제부총리가 협상을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