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명예사회복지공무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제작한 '위기가구 발굴 활동 매뉴얼' /사진제공=수원시


수원시가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현장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위기가구 발굴 활동 매뉴얼'을 제작, 전자책으로 배포했다고 14일 밝혔다. 위기가구 식별과 대응에 필요한 실질적 지침을 담았다. 수원시 2905명 명예 사회복지공무원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제작했다. 매뉴얼에는 위기가구의 징후를 비롯해 가구 방문 시 대화법, 개인정보 보호 등 유의 사항, 위기가구 발견 후 행동 지침을 수록했다. 동 행정복지센터를 비롯해 복지로(홈페이지·앱), 복지위기알림 앱을 통한 위기가구 신고 방법도 안내한다.


명예 사회복지공무원은 동 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생활 업종 종사자로 구성한 무보수·명예직 인적자원 네트워크다.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자발적으로 발굴하고,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하거나 복지 정보를 안내하는 등 지역사회 복지 증진에 필수적인 역할을 맡는다.

◇공공 와이파이망 접속 아이디 통일, 보안성은 강화


수원시가 시 전역 공공 와이파이망 접속 아이디를 통일하고, 보안성은 높였다고 밝혔다. 공공 와이파이망을 설치한 관공서를 비롯해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공원, 버스정류장 등 255곳 기관마다 달랐던 와이파이 접속 아이디를 통일했다. 또, 이용자와 장비 간 데이터를 암호화해 안전하게 사용하는 '보안 접속' 방식을 도입했다.

시는 시민이 더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QR(큐알)코드를 포함한 안내 홍보물을 공공 와이파이망 이용 장소에 부착하고, 노후 와이파이 장비도 순차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시는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쉽고 안전하게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편의성과 품질을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