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선 후보 첫 TV토론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이명박 전 대통령의 2007년 대선 토론과 유사한 전략을 선보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진은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왼쪽)이 투표를 하루 앞두고 청계광장에서 유세를 하는 모습과 이준석 후보(오른쪽)가 19일 청계광장에서 기자 회견을 하는 모습. /사진=머니투데이DB, 개혁신당


2025년 대선 후보 첫 TV토론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대표 공약들을 정조준하며 '실행력 검증'을 주도했다. 특히 이재명 후보의 상징적 정책들에 대한 재원과 구조를 집중 추궁했다.이에 과거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숫자 검증 정치' 계승한 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준석 후보가 TV토론에서 가장 많이 반복한 키워드는 'AI'와 'GPT'로 각각 4회씩 언급됐다. 이어 '100조'(3회), '투자'(3회)를 이어 '왜곡', '극단', '호텔경제' 등이 언급됐다. 이재명 후보의 이번 대선 대표 공약인 'AI 100조 투자'와 '전국민 GPT 보급'을 겨냥해 공약 실행 가능성과 재원 조달 방식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활용됐다.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의 복지공약을 두고 재원마련 방안을 반복적으로 지적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의 2007년 대선 토론 전략과 유사하다는 평가가 나오게 된 배경이다. ▲예산 총량 프레임 선점 ▲세입과 세출의 구조로 논점 이전 ▲리더십 검증으로 확장시킨 점에서 유사한 전략 흐름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구호성 정책을 숫자로 검증하고 책임성 부족을 부각시키는 방식이다. 단순한 공약 비판을 넘어 정책 구조와 정치적 태도를 동시에 겨눈 전략으로 평가된다.


그는 특히 "GPT 보급에만 12조원이 필요하다" "농촌기본소득과 전국민 AI 정책이 동시에 가능하냐"고 되묻는 등 '예산 총량'의 틀로 이재명 후보를 조준했다. 2007년 대선 당시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당시 5년간 81조원을 투입해 보육·교육·의료 등 복지체계를 전면 개편하겠다고 공약하자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재원마련 방안과 예산 총액 내에서 조정 가능성 여부를 반복적으로 질문했던 모습과 오버랩된다는 평가다.

나아가 조세 구조와 지출 구조를 함께 따지는 방식으로 공세를 확장했다. 이준석도 "단순히 민간에 맡긴다"는 이재명의 설명을 반박하며 실행 설계가 미비 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세입 증대보다 세출 효율화가 우선이라며 공약 실현 가능성에 제동을 걸었던 것 부분과 유사하다.


공약 검증을 넘어 국정 운영 리더십 검증으로 나아간 수사 구조도 유사하다. 이준석은 "세금이 어디에 얼마 들어가는지도 계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약을 남발하면, 대통령이 된 뒤엔 더 큰 피해가 돌아온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그 태도로 트럼프와 협상하겠느냐"며 외교 리더십까지 문제 삼았다. 과거 이명박이 정동영에게 "이런 숫자조차 계산하지 않으면서 책임있는 정치라고 할 수 있느냐"고 질타했던 맥락과 맞닿아 있다.

이준석 후보는 토론 직후 백브리핑에서 "정책을 묻는 질문에 '왜곡하지 말라'는 감정적 반응만 반복한 건 유감"이라며 극단이라 몰아가기 전에 구체적인 설명부터 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정책 실현력을 묻는 건 국민의 정당한 권리"라며 정책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