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여년 전 고구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인장에 대해 중국 언론 매체가 고구려가 고대 중국 관할지였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황금 인장의 모습. /사진=CCTV 홈페이지 캡처


1700여년 전 고구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인장을 중국 기업인이 현지 박물관에 기여했다. 이에 중국 관영 매체들은 고구려가 고대 중국 관할하에 있었다고 주장 중이다.


지난 18일(이하 현지시각) 중국 매체 신화통신과 CCTV에 따르면 이날 중국 지린성 창춘시에서 개최된 '2025 국제박물관의 날' 기념행사에서 '진고구려귀의후'라는 문구가 새겨진 황금 인장이 지린성 지안시박물관에 기증됐다.

이 인장은 중국 서진(265~316년) 왕조 시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당 유물은 도장면 2.4×2.3㎝, 전체 높이 2.8㎝, 무게 약 88g의 크기다. 손잡이 부분은 말을 형상화한 조각이 붙어 있다. 도장 면에는 '진고구려귀의후'라는 문구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중국 지안 출신 민간 기업인 진밍난 진더우그룹 회장 부부는 지난달 차이나가디언 홍콩 춘계 경매에서 1079만7000홍콩달러(약 19억2800만원)에 해당 인장을 낙찰받아 기증했다. 이 인장은 한 일본 소장가가 이번 경매에 내놓은 것이다.

중국 언론은 이 인장에 새겨진 '귀의'라는 표현을 '순종'의 의미로 해석하고 '귀의후'는 고대 중국 국가가 소수민족 지도자에게 내리던 봉작이라며 "고구려가 당시 중국 중앙정부에 '신복'했음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고구려는 중국 동북부 고대 민족 '지방정권'으로 한·위진남북조·당 시대를 거쳐 동북아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진나라 이후 중국 중앙 정부는 관할하에 있는 소수민족 정권 수장에게 인장을 수여하는 전통이 있었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내용은 인장 진위, 과학적 검증, 학계 공론화 과정 없이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