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곤 HLB 회장이 22일 HLB포럼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HLB


"글로벌 항암제를 목표로 개발과 임상, 승인과 상업화를 독자적으로 해내겠습니다."

진양곤 HLB 회장은 22일 오전 서울 송파구에서 '2025 도약, 2030 비상: HLB의 미래를 함께 그리다'를 주제로 열린 HLB 포럼 환영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진 회장은 베스트인클래스(Best-in-Class·동일 계열 최고) 항암제의 개발과 임상, 승인과 상업화를 모두 해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간암 신약인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을 거론하며 "최근 HLB는 간암 신약인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상업화와 담관암 신약인 '리라푸그라티닙'의 막바지 임상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올해와 내년에 간암 신약과 담관암 신약이 연이어 상업화에 성공하고 선낭암 신약이 환자들에게 처방되도록 한다는 목표 아래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HLB는 2023년 5월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을 간암 1차 치료제로 승인받기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NDA(신약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FDA는 지난해 5월 캄렐리주맙의 CMC(제조품질관리) 문제와 BIMO(임상 현장 실사)에서의 보완 필요성을 지적하며 1차 CRL(보완요청서신)을 통보했다. 이후 파트너사인 항서제약이 CMC 실사에서 지적받은 사항을 보완해 NDA를 다지 제출했지만 지난 3월 두 번째 CRL을 수령했다. HLB는 이달 FDA에 세 번째 간암 신약 허가 재신청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진 회장은 리보세라닙 외에도 차세대 플랫폼 치료제 성과를 낼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는 "미국의 이뮤노믹 테라퓨틱스, 베리스모 등의 계열사와 함께 암백신,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 등 차세대 플랫폼 기반의 치료제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우리만의 독특한 기술로 조합된 베리스모의 CAR-T 치료제는 혈액암을 넘어 고형암에서도 임상을 진행 중인데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진 회장은 좌절과 실패는 계속 있었으나 길게 보면 성장과 발전의 역사를 충분히 증명했다고 자신했다. 그는 "2006년 총 임직원 40명에, 인접한 대형 조선소의 식당 규모에 불과했던 울산의 작은 회사가 10개의 상장 기업을 포함한 50개의 기업군으로, 2000명의 임직원과 100명이 넘는 바이오 부문 연구원들이 근무하는 회사로 성장했다"면서 "내년까지 글로벌 신약을 3개 이상 출시할 기대를 갖고 있는 회사가 됐다면 성장과 발전의 역사를 충분히 증명했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HLB포럼은 '2025 도약, 2030 비상: HLB의 미래를 그리다'를 주제로 이날과 오는 23일 양일간 열린다. HLB그룹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 파이프라인과 미래를 위한 전략 파이프라인의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진단-예방-치료의 주요 사업 계획과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전략을 조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