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최악 폭염' 예고… "평년보다 덥고 6월부터 비 많이 내려"
김다솜 기자
1,639
공유하기
![]() |
올 여름철(6~8월)은 평년보다 기온이 상승하고 강수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23일 기상청이 발표한 3개월 기후 전망에 따르면 6월 기온은 평년(21.1~21.7도)보다 '높을 확률'이 40%, 7월(24.0~25.2도)과 8월(24.6~25.6도)은 각각 50%다.
국내 분석뿐 아니라 유럽, 미국, 호주 등 11개국 기상청 및 관계기관이 제공한 474개 기후예측모델 결과에서도 올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모델의 앙상블 평균에 따르면 6월은 58%, 7월은 64%, 8월은 71% 확률로 평년을 웃돌 전망이다.
주요 요인은 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봄철 동안 평년보다 높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대류 활동이 활발해져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동아시아 지역은 하강기류가 발생해 남동쪽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남쪽의 고온다습한 기류 유입이 강화돼 평년보다 기온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
강수량은 6월부터 많을 수 있다. 앙상블 평균에 따르면 6월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을 확률이 48%, 7월과 8월은 각각 비슷할 확률이 29%, 32%로 나타났다. 기온이 올라가고 고온다습한 공기가 들어오면서 이른 폭염과 함께 초여름 집중호우도 예상된다.
주요 요인은 북인도양과 티베트고원의 이상 기후다. 북인도양 해수면이 봄철 동안 평년보다 높은 상태고 티베트 지역은 눈 덮임이 평년보다 많다. 이에 따라 한반도 상공에 기압골이 강화돼 대기 불안정을 유발해 국지적 강수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유럽의 눈 덮임과 북극 해빙 면적 축소는 한반도 고기압 발달을 유도해 대기 흐름을 안정시킬 수 있어 강수량이 줄 가능성도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다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