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난리난 지하철 에어컨 전쟁… '이곳'이 제일 시원하다
김다솜 기자
1,286
공유하기
이른 무더위로 서울 지하철에서 냉난방 민원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20일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5월까지 접수된 냉난방 불편 민원 건수는 28만3972건으로 고객센터로 접수된 총 불편 민원의 75.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민원 4건 중 3건 이상으로 5월 한 달 동안 11만 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됐다. 지난 2020년부터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는 열차 내 냉난방 민원은 더위가 시작되는 5월부터 급격히 늘었다.
지난해 접수된 냉난방 민원을 시간대별로 분석한 결과 출퇴근 시간대(07~09시, 18~20시)에 '덥다' 민원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덥다'와 '춥다' 민원이 같은 시간대에 동시에 들어와 고객센터 상담원들이 난감한 상황에 부닥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체 '덥다' 민원 중 71.9%에 달하는 62만3969건이 출퇴근 시간대에 접수됐다. 특히 승객들이 가장 많은 오전 8시에는 22만9846건(26.5%)이 몰렸다. 전체 '춥다' 민원 중 61.1%에 달하는 3만5538건이 출퇴근 시간대에 몰렸다. 지난해 호선별로는 수송 인원이 가장 많은 2호선에 35.0%의 냉난방 민원이 집중됐다. 7호선(20.6%)과 5호선(12.6%)도 민원이 많았다.
객실 내 냉난방은 개별 온도센서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자동 조절되고 있다. 열차 내 냉방 온도는 환경부 고시에 따라 일반칸은 24℃, 약냉방칸은 25℃로 설정돼 있다. 공사는 여름철 쾌적한 객실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하절기 출퇴근 시간대에는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최대로 가동하고, 시간대별 승객 혼잡도에 따라 객실 온도를 조절한다. 냉방 민원 발생 시 양해 안내방송을 적극적으로 시행해 승객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
공사는 열차가 혼잡할 경우 객실 내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공사 공식 앱인 '또타 지하철'에서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좌석 위치에 따라서도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열차 내 냉기의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다. 반대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로 체감온도에 따라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쾌적하게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추위를 많이 타는 승객은 일반칸에 비해 1℃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칸을 이용하는 게 좋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다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