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출석 시간 조정 요청을 거절했다. 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로 출석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출석 시간 조정 요청을 거부했다.


지난 1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오후 내란 특검은 공지를 통해 "윤 전 대통령의 출석 시간 조정 요청을 수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사회 일반의 업무 개시 시간, 지난 조사 경과 및 조사량이 많은 점을 고려해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5일 오전 9시 출석을 재차 통보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이 요청한 오는 5일 오전 9시 출석 통보에 응하겠다면서도 오전 10시 출석으로 1시간 늦춰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출석 시간이 조율되면 1차 조사와 마찬가지로 공개 출석을 한다는 입장이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일 오전 9시로 예정됐던 2차 소환 조사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내란 특검은 불출석으로 간주해 오는 5일 재소환을 통보하고 이번이 마지막 출석 통지가 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박지영 내란 특검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 측의 의견서에도 '5일 이후에 출석에 응하겠다'는 취지를 밝히고 있는 상황"이라며 "만약 5일에도 출석에 불응한다면 그땐 요건이 다 갖춰진 이상 법원에서 (체포영장을) 내주지 않겠냐는 생각이 든다. 5일이 마지막 출석 통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8일 1차 출석 당시에도 특검팀은 오전 9시 출석을 요구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상 이유 등으로 오전 10시로 연기를 요청했다. 당시 특검팀은 이를 받아들였지만 이번엔 수용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지하 주차장으로의 비공개 출석을 요구했지만 특검팀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서울고검 현관으로 공개 출석하기도 했다. 2차 출석에도 윤 전 대통령 측은 공개 출석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1차 조사 이후 거의 잠을 못 잤다. 과로, 스트레스 증상이 있다"며 "심리적, 신체적으로 극심한 피로감을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