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육회비빔밥(자료사진) /사진=뉴스1


경기도 남양주의 한 음식점에서 육회비빔밥을 섭취한 후 장출혈성대장균(EHEC) 감염병이 집단으로 발생한 사실이 확인돼 방역 당국이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3일 경기도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해당 음식점에서 육회비빔밥을 섭취한 29명 중 26명(89.7%)이 다음 날부터 설사,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였다. 다행히 현재는 전원 증상이 완화된 상태다.

EHEC 감염증은,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6~8월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검사 결과, 유증상자 검체 21건 중 8건에서 EHEC 병원체가 확인됐다. 해당 음식점에서 보관 중인 소고기와 육회비빔밥 재현식에서도 EHEC 병원체가 확인됐다. 다만 음식점 조리 종사자나 조리도구에서는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방역당국은 위험노출시기 내 추가 유증상자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경기도와 질병관리청(수도권질병대응센터)은 해당 음식점 및 소고기 납품업체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감염원인 및 구체적인 전파경로를 확인할 예정이다.


한편 경기도와 질병관리청(수도권질병대응센터)은 여름철을 맞아 최근 전국적으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경기도에서는 EHEC 감염증이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증가하고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질병관리청 감염병 통계에 따르면, 올해 EHEC 감염증 신고 건수는 6월 말 기준 125건으로, 지난해 동 기간(102건) 대비 2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평균(94.2건) 대비로도 32.7% 높다. 특히, 경기도는 같은 기간 EHEC 감염증 신고 건수는 총 37건으로, 전년 동 기간 17명 대비 약 2.2배(117.6%), 최근 5년 평균(22.8건) 대비로도 62.3% 높은 수준이다.


제2급 감염병인 EHEC 감염증은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구역질), 구토, 미열, 설사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증상은 5~7일 이내 대체로 호전되지만, 환자의 10%는 합병증인 용혈성요독증후군(HUS,)으로 발전할 있다. 이 경우 소아의 치명울은 3~5%에 이른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오염된 육류나 올바르게 세척되지 않은 야채류의 섭취가 EHEC 감염증의 위험요인으로 꼽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