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 4190가구 공급… 7일 청약 개시
유형별 맞춤 지원… 수도권에 2375가구 공급
이화랑 기자
1,010
공유하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매입임대주택 4190가구의 청약 접수를 7일 시작한다.
7일 LH에 따르면 전국에 총 4190가구의 매입임대주택을 공급한다. 유형별로는 ▲청년 매입임대주택 1654가구 ▲기숙사형 청년주택 124가구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2412가구다. LH는 도심 내 직주근접이 가능한 신축·기존 주택을 매입해 저렴하게 임대하고 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19~39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018가구, 그 외 지역은 636가구다. 임대 조건은 인근 시세의 40~50% 수준이고 최장 10년(입주 후 혼인한 경우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학업·취업 등의 사유로 이주가 잦은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해 주택 여건에 따라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1인 거주에 최적화된 빌트인 시설을 갖춰 공급한다.
기숙사형 청년주택은 대학 기숙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19세~39세 청년,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으로 전국에 124가구를 공급한다. 임대조건은 인근 시세의 40% 수준이며, 최장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결혼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신생아가구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이 1357가구, 그 외 지역은 1055가구이며 소득·자산 기준 등에 따라 신혼·신생아Ⅰ·Ⅱ 유형으로 구분된다.
Ⅰ유형은 다가구·다세대주택 등을 시세 30~40%로 공급하며 최장 20년 거주할 수 있다. Ⅱ유형은 아파트·오피스텔 등을 시세 70~80% 준전세형(보증금 80%, 월임대료 20%)으로 공급해 임대료 부담이 적다. 최장 10년(자녀가 있는 경우 14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LH는 이날부터 9일까지 입주자를 모집하고 소득·자산 등 입주 자격 검증을 거쳐 9월 중 예비 입주자를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화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