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회 전반에 대한 개혁 방안을 담은 박제가 고본 '북학의' 표지./사진제공=수원시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 박제가(1750~1805)가 저술한 '북학의' 중 수원화성박물관 소장본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1일 해당 사실을 예고했으며,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을 거쳐 최종 심의 후 보물 지정을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7일 수원시에 따르면 국가유산청은 지난 1일 북학의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이 기간(30일) 이후 최종 심의를 거쳐 보물지정을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북학의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 박제가(1750∼1805)가 1778년(정조 2)에 청나라의 발달한 문물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온 후 서술한 책이다. 1798년(정조 22)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정조에게 사회 대개혁 방안을 담은 북학의를 바쳤다.


선진 문물 도입과 상공업 진흥, 농업 경영 개선 필요성 등 국가 제도와 정책, 사회·경제의 전 분야에 대한 자신의 견해 담았다. 내, 외편 2책으로 구성한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북학의에는 박제가가 책 곳곳에 내용을 수정·보완·추가하기 위해 붙여 둔 첨지가 있다. 그 내용이 현전하는 북학의에 그대로 반영돼 유물의 원본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북학의는 박제가의 친필 고본으로 작성 시기가 초기본에 가장 가깝다. 역사성과 저술의 가치, 글씨의 수준, 유물 상태에서 최상의 책이라는 평가다. 권말에는 박제가의 스승인 연암 박지원(1737~1805)이 친필로 쓴 서문이 남아 있다.


북학의는 지식인과 관료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지금도 널리 읽히는 조선시대 고전의 하나다. 수원화성을 건설한 정조의 실학사상과 개혁정치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국가유산청은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북학의가 박제가 친필 고본이 분명한 점, 작성 시기가 초기본에 가장 가까우며 역사성과 저술의 가치, 글씨의 수준, 유물의 상태 등이 최상인 점 등을 인정해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