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범기 전주시장이 7일 시청 4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완주군민협의회와 전주시민협의위원회가 공동 건의한 105개 사업 전격 수용을 밝히고 있다./사진=전주시


전주시가 완주군민협의회와 전주시민협의위원회가 공동 건의한 '완주·전주 상생발전방안'을 전격 수용하고 완주군과의 논의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해 나가기로 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7일 전주시청 4층 회의실에서 "완주군민과 언제든 소통하겠다"면서 상생방안의 적극 수용 의사를 밝혔다.

이날 우 시장이 적극 수용 의사를 밝힌 상생방안은 완주군민협의회가 제안하고 전주시민협의위원회가 실행 가능성을 타진한 시민주도형 거버넌스 모델로 지역주민들이 주도·구상하고 행정에서 수용하는 형태로 상생발전과 광역도시 구축을 위한 105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세부적으로는 △통합시 명칭·청사(3건) △지방의회 운영(3건) △민간사업단체 지원(7건) △지역개발사업(32건)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진흥(14건) △주민복지 향상(14건) △현행 읍면 체제와 기능 유지(5건) △공정한 공무원인사 기준 마련(8건) △산업분야 지원사업(5건) △교육분야 지원사업(6건) △체육분야 지원사업(5건) △상생발전방안 이행 제도적 마련(3건) 등이다.

상생방안의 신뢰성과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완주군민이 갖는 통합에 대한 불신과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전주시는 수용 의사를 밝히기 전부터 공개 약속을 이어왔다.


지난 3월 우 시장은 완주·전주의 행정통합이 이뤄지면 효율적인 통합시 운영을 위해 통합 시청사와 시의회 청사를 완주지역에 건립하기로 약속했다.

전주시 시설관리공단을 완주군 시설관리공단과 통합·이전하고 전주문화재단을 비롯한 6개 출연기관을 완주지역으로 함께 이전하고 집적화해 통합시 행정을 이끌어갈 행정복합타운으로 조성하겠다고 공개했다.


앞으로 시는 상생방안 105개 사업에 대해 자체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사업의 경우 장·단기 분류를 통한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재원 대책을 강구할 방침이다. 학군조정과 대기업·대형병원·상업시설 유치와 같이 타 기관, 민간의 역할이 필요한 사업들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건의와 협력을 통해 상생발전방안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검토할 계획이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지역의 미래가 완전히 새롭고 달라질 완주·전주 통합을 향해 우리는 또 한 번 중대한 걸음을 내딛었다"면서 "이번 통합의 논의는 민의의 통합이라는 점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걸음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