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조선업 활성화 추진… 중국·한국과 경쟁할 조선소 설립 계획
김인영 기자
1,062
공유하기
중국과 한국에 밀려 조선업 분야 세계 3위였던 일본이 경쟁력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각) 영국 매체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이 기업 M&A와 1조엔(약 9조4000억원) 규모 민관기금 조성을 통해 조선업 재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 업계 1위인 이마바리조선은 지난주 업계 2위인 재팬마린유나이티드(JMU) 지분을 기존 30%에서 60%로 늘려 자회사로 전환했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중국 국영 조선사인 CSCC와 한국 HD현대중공업 등과 경쟁할 수 있는 세계 4위 조선소를 설립하겠다는 계획이다.
클락슨리서치 자료를 보면 2018년 수주(환산톤수) 기준 시장 점유율은 한국(37.37%), 중국(32.28%), 일본(19.03%) 순이다. 그러나 6년 만인 지난해 중국 점유율이 69.95%로 올랐다. 반면 한국(15.13%)과 일본(6.78%)은 하락했다.
선박 인도량 점유율은 일본이 2018년 24.01%에서 지난해 11.78%로 급감했다. 반면 중국은 37.6%에서 53.29%로 과반을 차지했고 한국도 24.81%에서 27.98%로 올랐다.
지난달 일본조선산업협회 회장에 취임한 히가키 유키토 이마바리조선 사장은 "일본의 시장 점유율을 2030년까지 거의 두 배인 20%까지 늘리고 암모니아나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차세대 저탄소 선박 분야에서 선두를 차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권 자민당 산하 특별위원회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조선업 시설을 현대화하고 정부가 민간 그룹에 임대할 수 있는 국립 조선소를 건설하자며 1조엔 규모 공공-민간 기금 조성을 제안했다.
FT는 일본의 조선 역량 강화 움직임에 대해 중국에 대한 견제 수단이라는 점에서 미 당국자들도 긍정적으로 평가 중이라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인영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디지털뉴스룸 김인영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