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국내 최초 '공유형 ESS' 실증사업 추진
경기=남상인 기자
공유하기
![]() |
경기도가 전력망 안정화와 전기요금 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국내 최초로 공유형 에너지저장장치(ESS)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고양특례시, 한국전력공사, LS ELECTRIC(엘에스 일렉트릭) 3개 기관과 8일 고양어울림누리에서 '공유형 ESS 실증사업' 업무협약식을 체결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공공기관에 ESS를 설치해 전력을 과잉 생산하는 시간대에는 저장하고, 수요가 급증할 때 저장된 전력을 방출하는 전력망 체계를 구축한다. 설치가 확정된 고양시 공공기관인 고양어울림누리와 전력수요가 많은 민간 사업지를 선정해 연말까지 ESS를 설치하고, 내년부터 현장 실증을 시작한다.
이 시스템은 심야 등 전기 수요가 적고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전기를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여름철 한낮과 같이 전력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주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 제공함으로써 전력 수급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ESS 규모는 총 5MWh(배터리 용량 기준)로 내년까지 2년간 추진한다. 총사업비는 32억원 규모다. 경기도와 고양시가 부담하는 '스마트 ESS․EMS(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 지원사업' 5억 원, 국비·지방비·민간자본을 함께 투입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27억원을 포함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다수 에너지 수용자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인센티브를 공유하는 공유형 ESS 구조는 경제성과 확장성을 모두 갖췄다"며 "정전 예방, 전력망 안정성 향상,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고양시에서 실증이 시작돼 상징성도 크다"고 강조했다.
공공기관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 규정'에 따라 계약전력이 일정 규모 이상이면 ESS 설치 의무가 있다. 이번 공동 설치로 일부 기관은 별도 장비 구축 없이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예산 절감 효과도 따른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공유형 ESS 실증사업은 전력시스템 전환의 선도적 시도로서 공공이 선도하고 민간이 확산하는 민관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에너지 신사업 발굴과 미래산업 성장을 위한 에너지 환경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남상인 기자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