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04억 추경 편성…미국 관세 리스크 등 선제 대응
경기=남상인 기자
공유하기
![]() |
경기도가 미국의 관세 리스크 긴급 대응과 수출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104억원 규모의 수출지원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미국의 상호 관세 유예가 다음 달 1일로 다가옴에 따라 도내 수출 중소기업의 단기 피해를 최소화하고, 급변하는 통상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경기도는 기존 미국 중심의 수출 구조에서 벗어나 유망 신흥시장으로의 수출 다변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급변하는 통상환경 리스크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총 76억원을 지원한다. 이 가운데 70억원은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에 투입한다. 자동차, 의약품, 반도체, 철강, 알루미늄 등 미국 관세정책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공급망 기반 중소기업 900개사가 지원 대상이다. 수출컨설팅, 해외 전시회 참가, 해외규격 인증, 물류비 등 단계별 맞춤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통상환경조사단 파견, 비관세장벽 대응 등 FTA통상지원 사업에 4억5900만원을 지원한다. 상반기 자동차부품 통상환경조사단을 미국에 파견한 도는 하반기 전기전자·반도체 통상환경조사단을 추가 파견할 계획이다.
수출 시장의 지역적 다변화를 위해서도 19억 원을 지원하며, 해외 수출 거점 확대와 유망 신흥시장 진출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무역 리스크가 높은 미국과 중국, 그리고 경기도 주요 수출국인 베트남과 인도를 대상으로 수출유망지역 유통망 진출 지원사업에 10억원을 투입한다. 총 100개 기업의 온·오프라인 유통망 진출을 돕게 된다.
통상촉진단을 2회 추가로 파견해 일본, 중동 등 현지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 대한민국우수상품전시회(G-FAIR KOREA)의 해외바이어 초청 규모도 200명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내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9억원을 지원한다.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과 수출기업 물류비 지원에 집중 투자하다., 중소기업들이 비관세장벽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구체적으로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 5억200만원, 수출기업 물류비 지원에 3억8200만원을 투입한다.
경기도는 수출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현지에서 밀착 지원하기 위해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확대한다. 미국 댈러스 GBC는 8월 중 문을 열 예정이며, 하반기 중 호주와 대만에 신규 2곳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경기비즈니스센터(GBC)는 총 21개국 27개로 늘어나게 된다.
박근균 경기도 국제협력국장은 "2025년 하반기는 미국 관세정책의 향방을 가늠할 중대한 분기점으로 경기도는 단기적인 응급조치에 그치지 않고, 보다 정밀하고 지속 가능한 수출 지원 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남상인 기자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