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호위무사' 김성훈 "난 지시 따라 움직였을 뿐"
강지원 기자
1,844
공유하기
![]() |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를 저지한 혐의 등을 받는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직접 입장을 밝혔다.
9일 뉴스1에 따르면 김 전 차장은 지난 7일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지시를 하거나 임의로 판단해서 독자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위치가 아니었다"며 "주어진 업무와 지시에 따라 움직인 것밖에 없다"고 밝혔다.
김 전 차장은 12·3 비상계엄과 관련된 군사령관들의 비화폰 정보 삭제나 윤 전 대통령의 체포를 방해한 혐의에 대해 "(내란특검팀의) 조사에서 설명했다"며 "증거 자료들이 나오면서 저에 대한 오해가 풀렸다. 당시 저는 지시 받는 위치에 있었고 제 임무는 대통령 행사 일정이나 동선과 관련 없는 내부 조직 관리 및 행정 업무"라고 답했다.
아울러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앞둔 것과 관련해 "저는 정치인도 아니고 정무직도 아니다"며 "경호 공무원으로만 30년 근무한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차장은 지난 1월 경호처 직원들을 동원해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또 12·3 비상계엄 직후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등 군 지휘부의 비화폰 통화기록을 삭제하라고 직원들에게 지시한 혐의도 있다.
다만 김 전 차장은 체포영장 집행 방해나 비화폰 삭제 지시 혐의와 관련해 당시 책임자는 박종준 당 경호처 처장이라 자신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특검팀은 김 전 차장의 진술과 통화내역 등을 토대로 김 전 차장이 메신저 '시그널'을 통해 윤 전 대통령에게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저지 계획과 상황을 지시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김 전 차장이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계엄군 지휘부가 사용한 비화폰 기록을 삭제하는 데에도 관여한 사실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경찰 조사 초기, 김 전 차장은 윤 전 대통령의 변호인단과 함께 윤 전 대통령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진술했는데 이후 변호인단이 참여하지 않자 윤 전 대통령의 범행 부분에 대해 진술했다는 게 특검팀의 주장이다. 이에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김 전 차장에 대한 회유 또는 압박을 통해 진술 번복을 시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증거 인멸 가능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