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2050년 탄소중립 '2단 로드맵'…핵심은 브릿지 기술
2030년 수소환원제철(HyREX) 상용화 전 브릿지 기술 집중…국제 규제 대응 수단으로도 중요성↑
최유빈 기자
공유하기
![]() |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HyREX·하이렉스) 기술 상용화 전까지 전환기 대응을 위한 '브릿지 기술'에 승부수를 걸고 있다. 탄소 배출을 줄이면서도 현실적인 전환이 가능한 기술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겠다는 전략이다.
11일 포스코에 따르면 회사는 탄소중립 달성 수단의 하나로 2030년까지 수소 기반의 환원 기술인 하이렉스를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기술은 고도화된 설비와 대규모 수소 공급망, 고품위 철광석(DR Grade) 확보 등 복합적인 조건이 필요하다.
포스코는 하이렉스 기술 개발과 동시에 점진적인 탄소 감축을 유도하는 브릿지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은 스크랩 및 HBI(Hot Briquetted Iron) 등 대체 원료 기반 감축 기술이다. 고로에 투입되는 고탄소 원료인 소결광 대신 환원 공정을 거쳐 탄소 함량이 낮은 직접환원철이나 스크랩을 투입해 배출량을 줄이는 방식이다. 포스코는 HBI 전용 설비 도입과 함께 스크랩 선별·정련 기술을 고도화해 고급강 생산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합성가스 기반 연료 전환 기술도 주요 기술 중 하나다. 기존 고로 환원 반응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석탄(Coke) 대신 천연가스(NG)를 개질해 만든 수소·일산화탄소 혼합 연료를 투입하는 방식이다. 포스코는 산업부 국책사업인 'COLSTAR(저탄소 제철 원료 혼합환원 기술)'에 참여해 국내외 기관들과 함께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이미 파일럿 실증을 거쳤다.
전기로 확대 역시 포스코가 추진 중인 중장기 전략의 핵심 축이다. 포스코는 현재 광양에 연산 250만톤 규모의 전기로 신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본격적인 상업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기로는 고로 대비 탄소 배출량이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전력 사용량에 따라 RE100 등 재생에너지 연계 전략에도 유리하다.
포스코는 전환기의 '탄소 회피' 전략을 보완하기 위한 후처리 기술인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개발에도 힘을 싣고 있다. 고로·코크스 등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건설 소재나 광물화 기술을 통해 산업용으로 전환하거나 지하 저장소에 주입하는 방식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PT. Krakatau POSCO)를 시작으로 국내외 사업장에 CCS 실증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브릿지 기술은 단순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을 넘어 글로벌 규제 대응 수단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철강·알루미늄 등 고탄소 산업 제품에 대해 수출 시 탄소배출권 비용을 부과하는 규제로, 2026년부터 본격 발효된다. 포스코는 하이렉스가 상용화되기 전까지 브릿지 기술로 CBAM에 대응 가능한 탄소배출량 감축 수준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철강업계에선 포스코의 이러한 전략이 '현실을 반영한 이행형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다는 평가다. 전기로 비중 확대와 스크랩 정련, HBI 기술 도입은 비교적 빠르게 추진 가능하지만 는 인프라와 원료 수급까지 맞물린 장기 과제이기 때문이다.
정부와의 정책 연계도 과제로 떠오른다. 브릿지 기술은 고로 중심 산업구조를 당장 해체하지 않고도 감축 이행을 시작할 수 있는 현실적 수단이지만 스크랩 유통 확대, HBI 공급망 구축, 수소 연료 전환 등은 정책적 지원이 병행돼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업계는 브릿지 기술에 대한 R&D 세제 혜택, 수소·스크랩 관련 기반시설 확충, 전기로 투자에 대한 탄소감축 인센티브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포스코 관계자는 "기술의 전환은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현 가능한 수단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존 설비 기반의 탄소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이라는 혁신 기술로 옮겨가는 구조적 로드맵을 설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