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청사 전경./사진=전북도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이 내년도 국가예산 최대 확보와 지역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체계를 본격적으로 가동했다.

11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청에서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한 지역 국회의원, 14개 시장·군수가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2026년 국가예산 확보와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협의회는 기획재정부의 2차 예산심의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 전략과 예산 반영이 필요한 쟁점사업에 대한 설명이 중점 논의됐다. 전북도는 기재부가 미온적이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주요 사업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진행했으며 예산 반영을 위한 국회의원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전북도와 14개 시군이 건의한 50건의 주요 사업은 지역 균형발전과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할 핵심 과제다. AI 신뢰성 혁신 허브센터 구축·펫푸드 소재 산업화 플랫폼 구축·수소상용차 전용 안전검사센터 구축사업 등은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사업이다.


전주교도소 이전 계획과 맞물려 추진하고자 하는 '국립 모두예술 콤플렉스' 건립사업과 '글로벌 태권도 인재양성센터' 건립사업 등은 지역의 문화 인프라를 확장시킬 사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인구유입과 정주여건 개선에도 큰 효과가 기대된다.

국가어항 조성·재난안전 클러스터·노후 상수관망 정비 등은 도민의 생명과 직결된 생활 기반시설로 기후위기와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다.


김관영 도지사는 "세수 여건 악화 등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 여건이 녹록지 않지만 경기회복 기대 속 재정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지금이 오히려 기회"라며 "예산은 전북의 미래를 여는 열쇠인 만큼 남은 2개월 동안 지역 정치권과 원팀을 이뤄 국가예산 확보에 만전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정치권도 전폭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도당위원장은 "지금은 전북의 전환점으로 국가예산의 초석이 될 새정부 국정과제에 우리도 핵심현안 등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2026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정치권과 도·시군이 긴밀히 협력하는 등 적극적으로 챙기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