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 1년5개월만에 전원 복귀… '학번 꼬임'은 숙제
장동규 기자
2,562
공유하기
![]() |
윤석열 정부의 의대생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휴학한 의대생들이 1년5개월 만에 학교로 복귀를 선언했지만 복귀한 학생과의 갈등, 특혜 논란 불식 등 해결과제가 산적한 만큼 정부와 국회의 고심이 깊어질 전망이다.
13일 뉴스1에 따르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12일 오후 서울 용산 의협 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의협)와 함께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성명' 기자회견을 열어 "의대협은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가 정상화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2월 정부가 3058명이던 의대 입학정원을 2000명 늘린 5058명으로 조정하는 방안 등 의료개혁 방안을 발표하자 의대 교육 질 저하 등을 이유로 집단 휴학해 왔다.
올해는 2024학번과 2025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들어야 할 '더블링'이 이뤄졌는데 이들이 여전히 돌아오지 않으면서 내년 2026학번과 함께 하는 '트리플링' 사태가 예견돼왔다. 정부와 의료계, 교육계는 트리플링은 정상적인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부는 지난 3월까지 정상 수업이 가능할 정도로 학생들이 복귀하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증원 전인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의대생 복귀율은 25%에 머물렀지만, 정부는 대승적 차원에서 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줄였다.
지난 12일 의대생들은 국회와 정부를 믿고 전원 복귀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선우 의대협 바상대책위원장은 "의대협은 새 정부와 국회가 제시하는 의학 교육 및 수련 정상화를 신뢰하며, 이번 의정 갈등과 같은 혼란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학생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의대는 학사 운영이 1년 단위로 이뤄져 1학기 유급 조치를 받으면 원칙적으로 내년에나 복학할 수 있다. 2학기에 복귀하려고 해도 학사 일정 조정이 필요하다. 일부 학생들은 하루빨리 복귀해 교육과정 압축을 통해 진급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결국 교육부가 복귀 의대생 요구에 따라 학사 일정을 조정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장동규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장동규 기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