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밀라노 법원이 프랑스 명품 기업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이탈리아 계열사이자 고급 캐시미어 브랜드인 로로피아나가 중국 하청업체 노동자를 착취했다며 1년 동안 사법 관리 조치를 판결했다. 사진은 로로피아나 제품의 모습.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 없음. /사진=로로피아나 홈페이지 캡처


프랑스 명품 기업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의 이탈리아 계열사이자 고급 캐시미어 브랜드인 로로피아나가 중국 하청업체 노동자를 착취한 혐의로 1년 동안 사법 관리를 받는다.


지난 14일(이하 현지시각) 이탈리아 매체 코리에레델라세라에 따르면 밀라노 법원은 이날 로로피아나를 1년 동안 사법 관리 대상으로 지정했다. 법원은 로로피아나가 직접 노동자를 착취하거나 착취 사실을 명확히 인지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부실한 조직 관리 체계와 내부 감사 시스템으로 하청업체와 재하청업체들의 중국인 노동자 착취를 용이하게 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다.

하청업체들은 아시아인 노동자들에게 야간이나 휴일에도 작업을 시키는 등 법정 근로 시간을 훨씬 초과하는 근무를 시키고 최저임금보다 훨씬 적은 임금을 지불했다. 또 불법 기숙사와 비위생적이고 위험한 작업 환경도 문제로 제기됐다.


캐시미어 재킷은 로로피아나 매장에서 1000~3000유로(약 160만~484만원)에 판매됐지만 하청업체가 받은 금액은 80유로(약 13만원)에 불과했다.

이에 법원은 "로로피아나가 생산을 위탁한 하청업체와 재하청업체 실제 경영 능력은 검증하지 않았으며 수년 동안 생산 라인 실제 운영 상태나 노동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효과적인 검사나 감사도 수행하지 않고 형식적으로 보이는 검사만 실시했다"고 지적했다.


이탈리아 명품 업체들이 이같은 문제로 적발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최근 몇 달 동안 아르마니, 디올, 발렌티노, 알비에로 마르티니에도 동일한 사법 행정 조치가 이뤄졌다.

LVMH 그룹은 2013년 로로피아나의 지분 80%를 20억유로(약 3조원)에 인수했다. LVMH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부유한 가문인 아르노 가문이 소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