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②안경 아니면 소고기?… 21일부터 소비쿠폰, 카드씀씀이 깨우나
[다시 뛰는 민생, 소비쿠폰이 움직인다]
소비쿠폰 정책, 카드결제 규모 증가 기대
가맹점 수수료 인하 이슈 재점화는 우려
강한빛 기자
공유하기
편집자주
오는 21일부터 전국민에게 소비쿠폰이 지급된다. 신용·체크카드뿐 아니라 지역사랑상품권과 선불카드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쿠폰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쿠폰이 발급되면 소비심리 회복과 카드결제 확대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쿠폰 사용법부터 카드·핀테크사의 이벤트 전략, 이를 통한 소비 진작 효과까지 짚어본다.
![]() |
정부의 소비쿠폰 정책이 카드 결제 확대를 이끌지 관심이 쏠린다. 여름철 휴가 수요와 맞물리며 움츠렸던 소비심리가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기대도 커진다.
하지만 카드 사용이 늘더라도 수수료 인하 압박이 커질 경우 카드사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오히려 소비 진작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오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되면서 카드업계도 본격적인 '결제 키우기'에 나서는 분위기다. 소비쿠폰은 지역화폐,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가운데 선택해 받을 수 있으며 이 중 카드 포인트 방식에 대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카드 포인트 방식은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지급과 사용이 이뤄져 비용 효율성이 높고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카드사들도 반기는 분위기다. 카드사로 신청이 몰릴 경우엔 자연스럽게 신용카드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무엇보다 소비쿠폰을 통한 결제 확대는 카드사의 수익성을 일정 부분 보완해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올 1분기 신용카드 승인금액은 전년동기 대비 3.9% 늘어난 23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신용카드의 1분기 승인건수는 41억9000건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9% 증가했다.
![]() |
승인금액과 승인건수는 소폭 늘었지만 정작 결제 씀씀이는 줄어들며 소비 여력은 여전히 움츠러든 모습이다. 카드 한 번당 결제 금액을 의미하는 '평균 승인금액'은 지난 1월 5만7428원이었으나 5월에는 5만2918원으로 약 8.0% 감소했다. 2월엔 5만7818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3월(5만4427원), 4월(5만5246원), 5월(5만2918원)까지 하락세가 이어졌다.
이는 소비 자체는 늘고 있지만 1건당 결제 금액은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로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작은 지출은 계속되지만 큰 지출은 미루는 '신중한 소비' 경향이 뚜렷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쿠폰이 위축된 소비심리를 되살릴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카드사들은 사용처 외 영역까지 공략에 나섰다.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등 고정 수요가 있는 업종을 중심으로 자체 할인 이벤트를 늘리고, 휴가철 수요를 겨냥한 포인트 적립과 캐시백 프로모션도 확대하고 있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소비쿠폰 정책이 단기적으로 카드결제 규모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다"며 "소비쿠폰의 핵심 목표가 내수 진작인 만큼, 해당 정책 시행 초반에는 소비자들이 카드결제 등 공식 결제수단을 이용한 소비를 늘릴 유인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혜택을 받기 위해 카드를 사용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카드 매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수료 인하 압박 올라… 카드사들 노심초사
결제 규모 증가를 기대해볼 수 있지만 카드사들 입장에선 마냥 반가운 일만은 아니다. 정부가 소비쿠폰의 사용처를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으로 제한하면서 대부분 이미 우대 수수료율(0.4~1.45%)이 적용되는 가맹점이기 때문이다. 카드업계는 사실상 '제로(0)'에 가까운 수수료율 탓에 실익은 거의 없다고 하소연한다.카드업계 관계자는 "정책 방향에 발 맞춰 소비쿠폰 신청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서버증설 등에 나선 상태"라며 "다만 소비쿠폰에 따른 카드사들의 실질적인 수익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기에 정부는 '민생 소비 촉진'이라는 정책 취지를 내세워 카드업계에 추가적인 수수료 인하까지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수료 수익은 늘지 않는 반면 마케팅 비용과 결제 인프라 확대에 따른 부담은 오롯이 카드사 몫으로 남는다.
카드사들의 수익성은 이미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8개 카드사의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1조8437억원으로, 1년 전(2조138억원)보다 8.4%(1701억원) 줄었다.
실제 카드사들은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결제 인프라 운영비용 부담으로 약 80억원의 적자를 본 전례가 있다. 이번 소비쿠폰 정책 역시 유사한 구조로 운영될 경우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서 교수는 "카드 사용량 증가에 따라 가맹점 수수료 인하 요구가 다시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며 "소상공인 업종의 카드 매출이 늘더라도, 정부가 추가 인하 논의에 나설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맹점 수수료가 내려가면 카드사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부가 혜택을 줄일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소비자의 카드 사용을 다시 위축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민생 소비 진작이라는 정책 취지가 흐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한빛 기자
머니S 강한빛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