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리는 제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정연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그룹 차원의 컨트롤타워 재건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23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리는 '제3기 준감위 정례회의'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삼성이라는 큰 기업이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치, 국제 경쟁력 강화 등을 고려할 때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위원회 내부에서도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할 정도로 어려운 사안인 게 사실"이라며 "만약에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기능, 견제 방법 등의고민이 필요하기 때문에 계속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삼성이 국민 경제를 견인하는 만큼 기업가적 책임감을 가지는 게 중요하다고도 언급했다. 그는 "500만명 이상의 국민들이 삼성전자의 주주일 정도로 삼성그룹과 국민들 간의 관계가 연결되어 있다"고 전했다.


이 위원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에 대해 많은 위원들이 공감한다고도 전달했다.

최근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면서 등기임원 복귀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법원 3부(주심 오석준 대법관)는 지난 17일 계열사 부당합병과 불법승계 등의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이 위원장은 "이제는 재판의 굴레에서 벗어나 죽기를 각오하는 마음으로 공격적인 경영을 해야한다"며 "그래야만 삼성과 삼성에 의존하는 국민 경제가 함께 발전할 수 있다"고 했다. "등기 임원이 되려면 상법상 주주총회를 거쳐야 하는 등 절차 및 시기적 과정이 필요하다"며 "회사가 경영 측면에서 판단하고 진행해야 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준감위는 빠른 시일 내에 이 회장과 만나 공식 의견을 전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