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철 부산시의원이 29일 부산시의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박종철 시의원


박종철 부산시의원이 부산지역 대표 향토기업인 (주)금양의 경영위기와 기장군 내에 건설 중인 금양 2차전지 생산공장의 건설 중단 사태에 대해 부산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력히 촉구했다.


박 의원은 29일 열린 부산시의회 제330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의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타 지역으로 떠나는 현실 앞에서 지역 기업의 위기는 곧 지역사회의 위기"라며 "금양 사태를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금양은 매출 2000억원이 넘는 부산 대표 중견기업으로 2차전지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4695 원통형 배터리 개발에 성공하고 산업부로부터 첨단기업 3호로 지정받는 등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향토기업이다. 실제로 금양은 국내외 수주계약을 통해 총 2조8000억원 규모의 매출을 확보했으며 올해만 약 840억원의 구매 확약을 체결한 상태다.


그러나 기장군에 건설 중이던 2차전지 생산공장이 중단되면서 기업의 위기와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해당 공장은 전기차 약 21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완공 시 최대 2조원에 달하는 경제유발 효과와 1000여 명의 추가 고용 창출이 기대되던 핵심 사업이었다.

박 의원은 △부산형 산업안정화 펀드, 특례보증, 민간 투자 연계 등 금양의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한 금융지원책 마련 △금양-동부건설 간 원활한 소통 중재와 공사 재개 지원 △공장 준공 이후 원활한 생산 가동을 위한 행정적 지원 체계 마련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실질적 대응 방안을 부산시에 촉구했다.


또 "울산시는 조선업 붕괴 위기에 1650억원 규모의 추경과 10대 종합지원대책을 편성해 산업과 고용을 함께 지켜냈으며 구미시는 대기업 철수 이후에도 R&D 중심의 산업 전환으로 900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며 부산 역시 전례 없는 향토기업 지원을 통해 청년과 산업 기반을 지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금양은 스스로 해외 투자 유치 등 자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자체 역시 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적극적 조력자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