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착공·입주 상반기 급감… 공급절벽 '경고등'
지방발 공급 침체 확산… 악성 미분양 2년 만에 감소
이화랑 기자
공유하기
![]() |
올 상반기(1∼6월) 주택 공급 3대 지표인 인허가·착공·준공 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일제히 감소했다. 인허가 물량이 2022년 이후 3년 연속 줄어드는 등 지방을 중심으로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7.6% 감소한 13만8456채로 집계됐다. 반기 기준으로 인허가 물량은 2022년(25만9759채)부터 올해까지 매년 줄었다.
착공 물량은 10만3147채로 지난해 상반기(12만7249채)보다 18.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준공 물량도 지난해 상반기보다 6.4% 줄어든 20만5611채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지방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올 상반기 인허가 물량은 수도권이 7만3959채로 전년 동기 대비 22.7% 증가했으나 지방은 6만4497채로 전년 동기보다 28% 줄었다. 착공 물량도 수도권이 8.1% 줄어든 반면 지방은 32.8% 감소했다.
인허가와 착공 물량은 중장기 주택 공급 물량을 가늠할 수 있는 공급 선행 지표다. 통상 인허가를 받으면 2년 내 착공하고 약 3년 뒤부터 입주를 시작한다. 수도권에서도 착공 물량이 감소해 2~3년 이후까지 공급 부족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다 짓고도 팔리지 않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달 2만6716채로 5월(2만7013채)보다 1.1% 줄어 23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화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