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쓴 이력서가 구글링에 그대로… 사적 대화까지 노출
안효건 기자
공유하기
![]() |
챗GPT 대화 내용이 구글 등 검색엔진에 노출되는 문제가 불거지자 오픈AI가 관련 기능을 제거했다.
미국 IT 매체 테크크런치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챗GPT에서 사용자가 공유 버튼을 눌러 생성한 대화 링크가 구글 등 주요 검색엔진에서 검색된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채용공고에 맞춘 이력서 작성 요청" 같은 사적인 대화까지 의도치 않게 노출됐다. 대화 내용으로 링크드인 프로필까지 추적할 수 있는 대화도 있었다.
사용자가 공유 버튼을 누르고 링크 생성을 한 뒤 URL을 외부에 전송하면 다른 사람이 볼 수 있었다. 많은 사용자들은 자신이 생성한 공유 링크가 검색 엔진에 색인돼 누구나 검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해당 기능은 테크크런치 보도 몇 시간 후 바로 제거됐다.
오픈AI 대변인은 "우리는 유용한 대화를 더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검색엔진 노출을 포함한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지만 사용자들이 원치 않는 정보를 실수로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해당 실험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구글도 "검색 엔진은 웹에 공개된 페이지를 색인할 뿐 어떤 콘텐츠가 웹에 공개될지는 페이지 제작자가 통제하는 영역"이라며 구글이 정보를 의도적으로 노출시킨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구글 드라이브도 유사 사례다. 사용자가 드라이브 문서를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 설정으로 공유하면 해당 문서가 검색 결과에 노출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안효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