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 견제를 위해 희토류와 방위산업 핵심 광물 등 수출을 통제한 후 가격이 폭등했다. 사진은 2019년 8월23일 호주 퍼스 마운트웰드에서 말레이시아로 운송하는 희토류의 모습. /사진=로이터


중국이 미국 견제를 위해 희토류와 방위산업 핵심 광물 등 수출을 통제하자 미국과 서방 군수업체가 공급망 위기에 처했다.

지난 3일(이하 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방산업계 관계자들을 인용해 중국 핵심 광물 공급 제한 여파로 방산업체들이 총알에서 전투기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광물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를 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올 초 미·중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은 세계 공급의 90%를 장악하고 있는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했다. 이후 지난 6월 양국이 일부 양보에 동의하면서 희토류 수출이 재개됐지만 중국은 여전히 방산용 핵심 광물을 통제하고 있다.

원자재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방산업체들의 생산 지연 사례가 늘고 있다. 미군에 부품을 공급하는 한 드론 부품 제조업체는 중국 외의 희토류 자석 공급처를 찾는 동안 주문 납품을 최대 두 달 동안 연기해야 했다.


방위산업 핵심 광물은 가격도 올랐다. 업계 거래자들은 일부 자재가 중국 수출 제한 이전보다 5배 이상 올랐다고 밝혔다. 한 업체는 최근 전투기 엔진의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자석에 쓰이는 사마륨을 통상 가격 60배에 사겠다는 제안을 받았다고 전했다.

국방 소프트웨어 기업 고비니 데이터 기준 펜타곤 무기 체계에 사용되는 8만개 이상 부품이 중국산 핵심 광물에 의존하고 있다. 마이크로전자, 드론 모터, 야간투시 장치, 미사일 유도 시스템, 군사용 위성에 쓰이는 광물들이 대표적이다. 업체들은 지난 몇 년 동안 공급처 전환을 시도했지만 중국산 희토류 의존도가 높아 완전 대체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미 국방부는 지난달 미주 최대 희토류 광산 운영업체인 'MP 머티리얼즈' 지분 15%를 4억달러(약 5500억원)에 매입하는 등 미국 내 희토류 생산 확대에 나섰다. 하지만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