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S 2025 참가' 파두, 차세대 SSD 기술 청사진 공개
정연 기자
공유하기
![]() |
데이터센터 반도체 전문기업 파두가 5일부터 7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서 열리는 'FMS 2025'에 참가해 인공지능(AI) 시대를 위한 차세대 SSD 기술 전략과 향후 10년의 기업 비전을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개막일인 전날엔 이지효 파두 대표(CEO)와 로스 스텐포트 메타 하드웨어 시스템 엔지니어가 공동 기조연설자로 나서 '스토리지의 경계를 확장하다: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차세대 SSD'를 주제로 연설을 진행했다. AI 데이터센터 환경에 최적화된 스토리지 구조와 중장기 전략을 공유했다.
이 대표는 지난 10년의 스토리지 시장을 1세대부터 3세대까지 구분, 현재 AI 워크로드에 대응하는 '3세대 AI SSD' 시대에 진입했다고 설명했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컨트롤러 성능만 높이는 게 아니라 전력 효율까지 고려한 설계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파두의 저전력·고효율 설계 철학을 부각했다. 향후 기술 로드맵으로 ▲초당 1억 건(100M IOPS)의 데이터 처리와 512테라바이트(TB) 지원 용량 구현 ▲페타바이트(PB)급 SSD 컨트롤러 개발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파두는 대형 전시부스를 마련해 AI·클라우드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차세대 스토리지 기술도 대거 공개했다. 올해 시장 개화가 본격화한 Gen5 SSD 컨트롤러 성과를 소개하는 동시에 PCIe 6.0 기반 6세대 컨트롤러인 코드명 '시에라'를 첫 공개 했다.
차세대 NVMe 사양 기반 '디바이스 셀프 파워 모니터링(DSPM, TP-4199)' 기술도 함께 발표했다. 이 기술은 컨트롤러의 펌웨어(FW)와 전력관리반도체(PMIC) 연동을 통해 SSD 내부 실시간 전력 데이터를 측정·분석한다. 서버 설계 단계의 정확한 전력 예측은 물론 운영 단계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해 설비투자비(CapEx)와 운영비용(OpEx)을 낮춘다.
이지효 파두 대표는 "지난 2015년 창립 이후 10년간 기술 개발에 매진해 온 파두는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혁신적인 SSD 컨트롤러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글로벌 고객사들에 기술력을 입증받았다"며 "AI 시대가 요구하는 더 큰 용량, 더 빠른 성능, 더 높은 효율의 SSD를 통해 스토리지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정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