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문턱 올리고 예금금리 인하… 은행 예대금리차 1.42% 격차 확대
예대금리차 6월 1.42%… 인터넷은행도 예금금리 내려
이남의 기자
공유하기
![]() |
정부의 가계대출 강화 방침에 은행권이 대출금리를 올리면서 예대금리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은행권의 예금금리는 연 2%로 떨어진 반면 대출금리는 연 4%에서 꾸준히 오르고 있다.
8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상품 제외)는 지난 6월말 기준 평균 1.42%로 지난해 6월(0.51%)에 비해 3배 넘게 올랐다. 관련 공시가 시작된 지난 2022년 7월 이후 지난 3월(1.47%)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수준이다.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7월 0.43%로 좁혀졌으나 지난해 10월부터 1%대로 올라섰고 올해 들어 1.4%까지 올랐다. 시장금리 하락에 예금금리가 빠르게 떨어진 반면 대출금리는 하락 속도는 더디게 진행된 영향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중 예금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2.57%로 지난해 6월(3.54%) 대비 0.97%포인트 내렸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인터넷은행도 예금금리 인하 행렬에 동참했다. 토스뱅크는 이날부터 '먼저 이자 받는 정기예금'의 3개월 계약 기본금리를 기존 2.50%에서 내일부터 2.40%로 0.1%포인트 내렸다. 6개월 계약 상품의 기본금리도 똑같이 기존 2.50%에서 2.40%로 내린다.
지난달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기본금리는 1개월 이상~3개월 미만 계약 상품의 경우 기존 2.55%에서 2.50%, 3개월 이상 상품 전부 기존 2.60%에서 2.55%로 각각 0.05%포인트 내렸다. 케이뱅크의 코드K 정기예금 기본금리는 계약 기간 3개월, 6개월, 12개월 상품에 한해 기존 2.60%에서 2.55%로 각각 0.05%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반면 주담대 금리는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상승세다. 지난 7월31일 기준 KB국민은행의 고정형(혼합·주기) 주담대 최저 금리 수준은 3.65%로 지난 4월 (3.7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신한은행의 주담대 최저금리는 3.53%(금융채 5년), 하나은행은 3.54%(5년 고정·혼합)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의 금리는 4월 말 3.28%에서 3.57%(변동금리 5년)로 0.29%포인트 올랐다.
정부가 올 하반기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연초 대비 50% 감축한다고 밝히면서 은행들이 대출 옥죄기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은행 관계자는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남의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금융팀 이남의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