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원미 도심복합사업 조감도. /사진제공=부천시


부천시가 지연되고 있는 '부천원미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내부 기준과 지침 개선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조용익 시장은 지난 12일 직접 주민들과 만나 사업추진에 대한 불만과 고충을 청취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부천원미 복합지구는 지난 2021년 6월 선도사업 후보지로 선정된 뒤 같은 해 12월 지구 지정 완료, 2023년 12월 복합사업계획 승인까지 마쳤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사업시행자인 LH가 보상계획공고 과정에서 내부 사업성 검토 결과 사업착수 기준 미충족을 이유로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LH 측은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각적인 개선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표명했으나 주민들은 사업 장기화로 인한 생활 불편과 재산권 침해를 호소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사업 초기에는 공공이 직접 시행함으로써 사업추진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미분양·분담금 증가 등의 위험도 함께 부담한다는 입장이었다"며 "LH가 사업성 부족을 이유로 명확한 대안없이 사업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부천시는 지난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토교통부·경기도·부천시·LH 등 관계기관 현안 점검회의에서 신속한 사업추진 결정과 더불어 △적정 공사비 적용 △신축 분양 시세를 반영한 일반분양가 산정 △미분양 발생 시 LH 매입임대주택 제도 활용 △임대주택 공급 비율 하향 조정 등 사업성 개선 방안을 건의했다.

조용익 시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공공기관인 LH가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업추진을 중단하는 것은 주민들의 주거 안정과 권익을 외면하는 것"이라며 "LH는 공공기관으로서 단순한 사업성 여부를 넘어, 안정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