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의 가장 밝게 빛나는 세 개의 별이 삼각을 이룬다. 각각 베가(위), 데네브(좌), 알타이르(우)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정다연 시인이 네 번째 시집 '여름 대삼각형'를 51번째 아침달시집으로 출간됐다. 시인은 신작 46편을 통해 사랑과 자아를 탐색하고, 여름밤 별자리처럼 다채로운 감정을 단정한 언어로 실천한다.


시집은 여름 밤하늘의 대삼각형 별자리를 소재로 잡았다. 이 별자리는 여름 밤하늘에서 관측되는 1등성 베가, 데네브, 알타이르를 이어 만들어지는 삼각형이다.

시인은 서로 다른 별들이 선을 이루듯 감정이 결을 만든다. 그는 사랑이 결코 한 점이 아니라는 사실을 환기한다.


1부는 타인을 응시한다. 잠든 얼굴을 지키는 마음을 그린다. 불을 끄고도 따뜻함을 느끼는 감각을 담는다. 시인은 관찰을 서두르지 않는다. 결론 대신 호흡을 남긴다.

2부는 화자가 전면에 선다. 제목과 같은 연작이 중심이다. 뜨거움과 어둠이 교차한다. 별과 바위, 섬광의 이미지가 밀려든다. 사랑이 두려움을 앞지르는 순간을 붙잡는다.


3부는 일상으로 내려온다. 나무를 닦고, 토분을 갈고, 잎을 바라본다. 시인은 소유를 경계한다. 기대를 덜고 돌봄을 더한다. 사랑은 지시가 아니라 환경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시집은 관계의 무게를 가볍게 하지 않는다. 말은 짧지만 의미는 깊다. 단정은 미루고 질문을 남긴다. 질문은 독자의 기억을 불러낸다. 각자는 자기만의 대삼각형을 그린다.


정다연 시인의 '여름 대 삼각형' 낭독회


시인은 능동으로 말한다. 비문을 만들지 않는다. 주어와 서술어를 선명히 놓는다. 감정의 과열을 경계한다. 온기를 유지하되 화력을 높이지 않는다. 그래서 오래 남는다.

"불 끈 사람의 마음을 알고 싶어서 오늘은 불을 켜지 않기로 했습니다/ 어두운 화장실에서 샤워하고 양치했어요 얼굴이 보이진 않았지만 따뜻한 수증기가 피부를 감싸주었습니다/ 쓸쓸할 줄 알았는데 편안했어요."('불 켠 사람' 중에서)

독자는 읽으며 호흡을 고른다. 빠르게 넘기기보다 멈춘다. 한 행을 읽고 여백을 본다. 언어의 뒤편에서 울리는 소리를 듣는다. 그 소리가 마음의 방향을 바꾼다.

이 시집의 힘은 강요하지 않는 데 있다. 사랑을 정의하지 않는다. 다만 사랑이 일어나는 장면을 놓치지 않는다. 그 장면들이 모여 태도를 만든다. 태도가 곧 시의 윤리다.

"잠든 너에게 가장 이로운 자세는/ 내가 움직이지 않는 것/ 숨소리가 아주 작아졌으면 해 가까이서도 들리지 않을 만큼/ 감긴 눈꺼풀 너머로 네가 보고 있는 것."('잠든 너의 면' 중에서)

'여름 대삼각형'은 가볍지 않다. 그렇다고 무겁게 누르지 않는다. 별빛처럼 스민다. 오래 머문다. 시간이 지나도 휘발하지 않는다. 그 점이 이 책의 미덕이다.

한편 정다연 시인의 '여름 대 삼각형' 낭독회가 오는 27일 서울 마포구 도시상담에서 열릴 예정이다.

△ 여름 대삼각형/ 정다연 지음/ 아침달/ 1만 2000원

[신간] 여름 대삼각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