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씨름부 아동학대 피해학생의 부모가 18일 경북도교육청 앞에서 '임종식 교육감은 아동학대 방관자'라는 피켓을 들고 교육청의 책임 있는 조사를 촉구하며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사진제공=머니S 독자제공



경북도교육청이 관내 학교 운동부의 폭행 사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바람에 같은 일이을 되풀이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상주 씨름부 폭행 사건에서 교육청은 "사소한 사건은 지원청에서 처리한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사안을 대수롭지 않게 취급했고 과거 포항 고교 유도부 폭행 사건 때도 "경찰 소관"이라며 책임을 떠넘긴 사실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6월 상주시 한 중학교 씨름부 감독은 훈련 태도를 문제 삼아 학생의 머리를 삽으로 가격해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혔다. 피해 학생은 찢어진 피부를 봉합하는 치료를 받았지만 학교와 감독의 은폐 시도로 두 달 가까이 고통을 겪은 끝에 극단적 선택 시도까지 한 뒤에야 수면 위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청은 사건을 "경미하다"고 밝혀 사태의 심각성을 외면했다.

전문가들은 "쇠붙이가 달린 삽으로 학생을 폭행한 사건을 '경미'하게 본 것은 교육청의 인식 수준을 단적으로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피해 학부모가 사건 직후 교육청 산하 Wee센터에 도움을 요청했음에도 신고 의무가 있는 기관조차 경찰에 아동학대 신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교육청의 구조적 무책임과 관리 부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번 사례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지난해 포항 고교 유도부 폭행 사건 때도 교육청은 "학생학대는 경찰 소관"이라며 소극적 태도를 취하면서 피해 학생 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교육청의 무관심 속에 같은 비극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지원청 소관"이나 "경찰 소관"이라는 답변으로 일관하는 교육청의 무책임이 학생 폭행이라는 악순환을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북도교육청은 사건이 외부에 알려진 뒤 뒤늦게 전수조사와 무관용 원칙을 강조했지만 이는 근본 대책 없는 '보여주기식 행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은 "Wee센터를 단순 상담 창구가 아닌 긴급 보호·연계 컨트롤타워로 격상하고 교육청이 직접 책임을 지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북교육청이 이번에도 보여주기식 대책에 그친다면 운동부 내 폭력사태는 언제든 재발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