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내달 공개할 첫 초슬림폰 '아이폰17 에어'(iPhone 17 Air)의 실물 더미 모델이 외신을 통해 공개됐다. 사진은 애플이 내달 공개할 첫 초슬림폰 '아이폰17 에어'(아래쪽)의 실물 더미 모델과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의 두께 비교. /사진=IT팁스터 CID X


애플이 내달 공개할 첫 초슬림폰 '아이폰17 에어'(iPhone 17 Air)의 실물 더미 모델이 외신을 통해 공개됐다. 공개된 기기를 살펴보면 삼성전자의 '갤럭시 S25 엣지'보다 얇은 두께를 구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배터리 용량이 줄어든 점이 최대 약점으로 지적되면서 대용량 배터리를 갖춘 삼성전자에 한층 유리한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8일 폰아레나 등 외신에 따르면 아이폰17 에어는 애플이 처음으로 선보이는 초슬림 폼팩터 제품으로 실물 이미지에서도 눈에 띄는 얇은 디자인이 확인됐다. 현재까지 유출된 정보를 종합하면 두께는 5.5㎜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는 두께 5.8㎜인 갤럭시 S25 엣지보다 0.3㎜ 더 얇은 수치다. 불과 1㎜도 안 되는 차이지만 손에 쥐었을 때 그립감과 휴대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체감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얇아진 디자인의 대가도 분명하다. 바로 배터리 용량이다. 업계에 따르면 아이폰17 에어에는 2900mAh 배터리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작인 아이폰16 기본 모델(3561mAh)은 물론 경쟁작 갤럭시 S25 엣지(3900mAh)보다도 적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량 증가로 배터리 용량이 구매 결정의 핵심 요소로 꼽히는 만큼 이는 아이폰17 에어의 가장 큰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애플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역량에 기대를 걸고 있다. 아이폰17 에어와 함께 공개될 iOS 26에는 인공지능(AI) 기반 배터리 관리 기능이 대폭 강화될 예정이다. AI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다만 소프트웨어 최적화가 부족한 배터리 용량을 일정 부분 보완할 수는 있겠지만 하드웨어 한계를 완전히 극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삼성은 얇은 두께와 대용량 배터리를 동시에 잡는 전략을 택했다. 내년 초 출시가 예상되는 차세대 '갤럭시 S26 엣지'는 아이폰17 에어와 동일한 5.5㎜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4300mAh 배터리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졌다. 초슬림 디자인에 실용성까지 더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