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엽 흔적 지웠다'… 두산 반등 이끈 조성환 표 '화수분 야구'
최진원 기자
공유하기
![]() |
성적 부진으로 사퇴한 이승엽 전 감독의 뒤를 이어 지휘봉을 잡은 조성환 두산 베어스 감독 대행이 성적과 신인 발굴을 동시에 해내며 팀의 4연승을 이끌었다.
두산은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열린 KIA타이거즈와의 홈 경기를 스윕하며 4연승을 챙겼다. 어느덧 공동 5위 KIA, KT위즈, NC다이노스와의 격차는 5게임까지 줄어들었다. 조 대행이 부임했을 당시와 비교하면 엄청난 상승세다.
그 당시 대다수 야구팬들은 두산을 최하위 키움 다음 약체로 평가했다. 사실상 9위를 예약했다는 평도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조 대행은 이 전 감독 체제에서 지적받았던 문제를 하나하나 개선하며 두산의 팀 컬러와 같았던 '허슬두'와 '화수분 야구'를 부활시켰다.
이 전 감독은 KBO리그를 대표하는 최고의 스타플레이어 출신이다. 다만 감독을 맡았던 세 시즌 동안 꾸준히 선수단 운영 문제로 지적을 받아왔다. 앞선 두 시즌 포스트시즌 진출엔 성공했지만 잦은 투수 교체와 연투, 유망주 육성 실패 등은 문제가 됐다. 올시즌 성적마저 나오지 않으며 자진 사퇴로 이어졌다. 물론 큰 기대를 걸었던 메이저리그(ML) 출신 외국인 투수들의 부진, 곽빈의 부상 이탈 등으로 시즌초를 어렵게 시작했지만 성적과 비전 모두 챙기지 못했단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반면 조 대행은 성적과 유망주 육성 모두 챙기며 반등에 성공했다. 이 전 감독 체제에서 23승 3무 32패(승률 0.418)에 머물렀던 팀 성적은 조 대행 체제가 된 후 26승 2무 27패(승률 0.491)로 소폭 올랐다. 뛰어난 성적이라 보긴 어렵지만 여러 유망주가 가능성을 내비치며 다음 시즌에 대한 희망을 품게 했다. 무엇보다 팬들이 가장 원했던 선수단 체질 개선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 조 대행은 지휘봉을 잡자마자 베테랑 1군 선수들을 대거 2군으로 내리고 젊은 선수들에게 기회를 줬다. 경쟁을 통해 자리를 쟁취하란 무언의 압박이었다. 그동안 기회를 받은 신예급 선수들은 주전급으로 발돋움했다.
![]() |
타자 중에선 오명진, 박준순 등이 눈에 띈다. 특히 2025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전체 6순위) 지명을 받은 박준순은 조 대행 체제에서 꾸준히 기회를 받았고 올시즌 64경기 타율 0.301 3홈런 13타점 25득점 OPS(출루율+장타율) 0.728로 뛰어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는 '천재 유격수' 김재호의 후계자 소리를 듣고 있다.
![]() |
투수 쪽에선 더 많은 선수가 기회를 얻었다. 2025 신인드래프트 2라운드(전체 16순위) 지명을 받은 우완 최민석은 12경기 3승 2패 평균자책점(ERA) 2.86으로 두산 선발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이번 시리즈에선 2021년 입단 후 4년 만에 1군 데뷔전을 가진 윤태호(4이닝 무실점), 1군 등판이 4경기뿐이던 제환유(5이닝 1실점), 데뷔 첫 홀드와 세이브를 기록한 김정우 등이 활약했다.
일부 야구팬들은 이 전 감독의 경험 부족을 실패 원인으로 꼽았다. 현역 시절 롯데 자이언츠의 2루수로 활약한 조 대행은 은퇴 후 2018년부터 올시즌까지 코치직을 맡으며 지도자로서의 경험을 쌓았다. 또 대부분 시간을 두산에서 보내 선수단 파악도 완벽했다. 반면 이 전 감독은 은퇴 후 코치 경험이 없이 감독이 됐다. 초보 감독이 감당하기엔 프로의 벽은 높았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