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을 구입한다는 이른바 '영끌' 열풍 등으로 인해 한국 가계신용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사진은 지난 6월 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계업소의 모습. /사진=뉴시스


올해 2분기 가계빚 규모가 2000조원 가까이로 불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폭이 커지며 2년 9개월 만에 가계빚이 25조원 가까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 2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총 1952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24조6000억원 늘었다. 2021년 3분기 당시 증가폭이 35조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5분기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가계신용은 일반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대출받거나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한 카드 대금 등을 합한 금액이다. 가계부문 신용공급 상황 및 규모를 파악하는 데 주로 쓰인다.


이 중 가계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1832조6000억원으로 23조1000억원 증가했다. 전분기 말 기준 증감액인 3조9000억원 대비 대폭 늘었다.

지난해 기준 분기별 가계대출 증감액은 1분기 8000억원 감소, 2분기 13조3000억원 증가, 3분기 17조원 증가, 4분기 8조8000억원이다.


상품별로 보면 주담대가 전분기 대비 14조9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2월부터 늘어난 주택매매거래 여파가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및 증권사 신용공여액을 중심으로 증가 전환했다.

가계대출 취급기관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분기 말 대비 예금은행과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각각 19조3000억원, 3조원 증가했다. 기타 금융기관 등도 9000억원 늘었다.


해당 기간 미결제 카드이용액 등이 포함된 판매신용 잔액은 120조2000억원으로 1조4000억원 늘었다. 전 분기에는 1조6000억원이 줄었으나 신용카드 이용규모 확대에 따라 증가 전환했다.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주담대, 증권사 신용공여액이 증가하며 올 2분기 가계신용 규모에 영향을 끼쳤다"며 "주택구입용 주담대를 중심으로 당분간 높은 증가세를 보일 수 있고, 수도권 주택매매가격 오름세가 진정되고 있으나 추세적 안정 여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