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이 중국 당국이 중국판 N번방 사건 피해자가 10만여명임에도 불구하고 침묵, 검열만 하고 있다며 비판했다. /이미지=클립아트코리아


중국판 N번방 사건 피해자가 10만여명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당국이 침묵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텔레그램 중국어판 채팅방에서 여성들의 비동의 촬영물이 대규모로 유포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중국판 N번방 사건이 밝혀졌다. 사건 피해 여성인 A씨는 폭로를 통해 사건은 드러났다. A씨는 자신의 영상을 해당 채팅방에 전 남자친구가 공유한 사실을 알게 됐고 이를 폭로했다. 해당 채팅방에는 연인이나 직장 동료, 예비 신부들 사진이 공유되고 초소형 카메라로 공중화장실이나 지하철, 쇼핑몰, 병원 초음파실에서 불법 촬영된 영상까지 거래되고 있었다.


분노한 A씨는 해당 사실을 인터넷에 폭로했다. 결국 문제가 된 방은 폐쇄됐다. 하지만 같은 유형 텔레그램 채팅방들이 1~2만명대 사용자를 모으고 있다는 게 추가로 확인됐다. 일부 이용자는 여성에 대한 폭행과 협박을 자랑하고 사진 속 여성에 폭언을 퍼부었다.

텔레그램 측은 신고된 방을 즉시 제거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전화번호 기반 계정 차단만으로는 재범을 원천 봉쇄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거론됐다. 결국 A씨는 피해 여성들과 집단행동에 나섰다. 신고 방법과 대응 방침 등을 인터넷상에 공유했다. 이 과정에서 집회하자는 제안도 일부 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피해 폭로 글과 집회를 언급한 글이 삭제됐다. 중국 당국이 검열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지만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이나 공안부 등은 아무런 공식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A씨는 텔레그램 채팅방 피해자 규모가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다며 "중국 여성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이 문제가 그냥 묻히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 N번방 사건은 협박과 금전 거래 구조가 뚜렷했고 주범에 대한 중형 선고와 관련법 정비가 빠르게 이뤄졌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이런 대책이 나오긴 어렵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정치 체제가 다르기 때문이다. CNN은 중국 공산당 정권이 독립적인 시민운동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여성 인권 운동에도 강경하게 대응해 온 점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