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마' 이해영 감독 / 넷플릭스 제공


(서울=뉴스1) 장아름 기자
"'제목에 대한 편견만으로 보려는 관객들에게 이 두 여성이 시원하게 한 방 먹인다'는 감상평이 너무 정확해서 놀랐어요."


이해영 감독은 첫 드라마 '애마' 공개 이후 쏟아진 호평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평을 이같이 언급했다. '애마'는 1980년대 에로 영화를 대표하는 '애마부인'을 소재로, 야만의 시대와 맞짱 뜬 두 여성 배우의 이야기를 다룬 참신한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해영 감독은 작품 공개 후 대중의 반응을 접한 데 대해 "'올해 본 것 중에 제일 재밌었다, 넷플릭스에서 했던 것 중에 제일 재밌었다'는 그런 말들이 너무 감사했고 뜨겁게 와닿았다"며 기뻐했다.

지난 22일 6회 전편 공개된 넷플릭스 새 시리즈 '애마'는 1980년대 한국을 강타한 에로영화의 탄생 과정 속,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에 가려진 어두운 현실에 용감하게 맞짱 뜨는 톱스타 희란(이하늬 분)과 신인 배우 주애(방효린 분)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배우 이하늬와 방효린 진선규 조현철 등 배우들이 출연했으며, '천하장사 마돈나'(2006) '페스티발'(2010)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2015) '독전'(2018) '유령'(2023) 등 작품을 선보인 이해영 감독의 첫 드라마 집필·연출작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다.


'애마'는 이해영 감독이 20년간 품어온 이야기다. 이하늬와 방효린이 말을 타고 광화문 도로 한복판을 역주행하는 장면은 드라마의 시그니처가 될 만큼, 남성 중심의 사회와 권력을 향해 정면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여성 배우의 저항을 시각화하는 강렬한 연출을 보여줬다. 이해영 감독은 "그 장면을 하려고 이 이야기를 만들었다"고 했을 만큼, 이 장면이 지닌 상징성은 돋보였다. "처음 쓰고 연출하는 신인 작가, 신인 감독의 마음으로 돌아가 작업했다"는 이해영 감독을 만나 작품에 대한 비화를 더 들어봤다.

-작품 공개 소감은.


▶영화 개봉 때와 다른 긴장감이 든다. 묘한 느낌이다. 1부부터 정주행하면서 보는데 영화 시사회 때와 진짜 기분이 다르더라. 정말 이렇게 지나온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가면서 '이걸 만들며 많은 일을 겪었구나' 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배우들하고 스태프들과 일일이 연락들을 많이 했다. '고생했어' '너무 잘했어' '우리 참 많은 걸 했어' 이런 격려를 영화했을 때보다 훨씬 더 많이 했다. 훨씬 더 인생 경험 같은 느낌의 일이었구나라는 걸 뒤늦게 깨닫게 되는 것 같다.

-시청자 피드백은 어땠나.


▶피드백은 다른 것 같았다. 지인들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받는 것은 유사한 형태이긴 한데, 누리꾼들의 반응은 확실히 달랐다. 영화는 보통 엔딩이나 중요한 것들을 잘 얘기하지 않는데, 시리즈는 완전히 다 열리더라.(웃음) 그래서 ‘진짜 오픈 콘텐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고, 피드백이 굉장히 구체적이고 직접적이며 뜨겁게 온다는 것을 실감했다.

-시청자 반응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무엇인지.

▶고맙게도 '올해 본 것 중에 제일 재밌었다, 넷플릭스에서 했던 것 중에 제일 재밌었다'는 반응이었다. 그런 말들이 너무 감사했고 뜨겁게 와닿았다. (반응이 나빴다기보다) 아팠던 말은 '안 야하다'라는 반응이었다. '왜 안 야하냐'는 반응이 뜨겁게 다가오면서, '이렇게 보시는구나'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됐다.

-그런 반응은 예상하지 못했는지.

▶'안 야하다'라는 반응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예상했다. 사실은 관객들이 일정한 기대치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 작품은 그 기대치를 지향하는 이야기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런 말씀들이 나올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었다.

-첫 드라마인데, 그 이야기의 출발점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시작하게 된 이야기인가.

▶시작은 굉장히 오래됐다. 거의 17년, 20년 가까이 됐다. 첫 연출작 '천하장사 마돈나'를 끝내고 나서 '애마'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 시놉시스 정도로 정리해뒀다. 당시에는 영화밖에 알지 못했기 때문에 영화 시놉시스로 정리했는데, 아무리 써도 2시간짜리 이야기로는 되지 않았다. 그래서 못 만드는 이야기인가 보다 하고 덮어뒀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매체가 다변화되고 제 시야도 넓어지면서 시리즈로 꺼낼 수 있었다.

-왜 하필 '에마부인'이었나.

▶80년대 전설적인 작품들이 많이 있었지만, '에마부인'이 가장 대표성을 띠는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트렌드를 처음 연 신호탄 같은 작품이었기 때문에 의미가 컸다. 또한 이전의 영화들과는 궤를 달리했고, 여성을 희생자가 아닌 욕망을 가진 존재로 전면적으로 내세운 작품이어서 의미가 있었다.

-1980년대를 구현해야 했는데.

▶그 세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공부를 굉장히 많이 했다. 자료도 많이 찾아봤고 선배 원로 영화인들의 이야기와 강연도 많이 들었다. 자료들도 찾아보고 약 5~6개월 정도 자료를 보면서 공부를 하고 밑작업을 했다.

-안소영 배우는 어떤 도움을 줬나.

▶만나 뵀을 때 굉장히 편안하게 대해주셨고 격려를 많이 해주셨다. 특히 촬영할 때 촬영의 즐거움을 나누고 소통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그게 큰 힘이 됐다. 촬영분이 뒷부분이었는데 지칠 수 있는 회차였음에도 힘이 많이 됐다. 선배님이 출연하셨던 다큐멘터리도 직접적인 메시지로 영향을 줬고 영감을 줬다.

-어떻게 출연으로 이어지게 됐나.

▶선배를 꼭 모시고 싶었다. 어떤 방식으로든 작품에 모시고 싶다는 생각을 시나리오 쓰는 내내 했다. 하지만 어떤 역할을 드려야 할지 어려웠다. 개성 있는 감초나 깜짝 출연으로 부탁드리기에는 조심스러웠고 옳지 않다는 느낌도 있었다. 정확하게 어떤 방법과 역할이 적합할지를 오래 고민했다. 그러다 6부를 쓸 때 시상식 장면에 등장해 말씀을 하는 역할이라면 앞부터 6부까지 이어온 테마와 이야기들을 정리해주며 과거와 현재를 연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역할로 대사와 설정을 완성하고 부탁을 드렸다. 거절하시면 어쩌나 조심스러웠는데 다행히 흔쾌히 허락해주셔서 영광이었다.

-이하늬 배우와 방효린 배우의 시너지가 돋보였다. 먼저 이하늬 배우 캐스팅 과정은.

▶이하늬 배우는 이 작품을 다시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20여 년 만에 이야기를 끄집어내 시놉시스를 정리할 때부터 배우가 거절하면 이 이야기는 못한다고 생각했다. 배우가 거절하면 엎어야지 하는 생각이었고, 설득하기 위한 마음으로 캐릭터를 썼다. 처음으로 작품을 건넸을 때 하겠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왔고, 그때부터 본격화됐다. 다른 사람은 없었다. 이하늬가 아니면 성립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만약 거절했다면 또 묶어두고 대체할 배우가 나오기를 기다렸을 것 같다. 결국 해주겠다고 해서 감사했고, 비로소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었다.

-왜 꼭 이하늬 배우여야 했나.

▶이하늬라는 사람은 기본적인 태가 크고 단단한 사람 같았다. 그 점이 중요한 이미지였다. 겉으로 보기에 화려하지만 실제 생활은 그렇지 않다. 실제로는 크고 단단한 사람인데 겉으로는 화려하게 보이지 않나. 이 사람이 강단이 있다고 표현하면 어떻게 들리지 모르겠으나 내면이 유달리 단단하다. 그래서 그녀가 가진 코어의 힘, 기립근 같은 힘이 이야기를 독보적으로 느껴지게 만드는 지점인 것 같다.

<【N인터뷰】 ②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