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마' 감독 "낙담했을 때 나타난 방효린…연기력에 반했다" [N인터뷰]②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장아름 기자
"'제목에 대한 편견만으로 보려는 관객들에게 이 두 여성이 시원하게 한 방 먹인다'는 감상평이 너무 정확해서 놀랐어요."
이해영 감독은 첫 드라마 '애마' 공개 이후 쏟아진 호평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평을 이같이 언급했다. '애마'는 1980년대 에로 영화를 대표하는 '애마부인'을 소재로, 야만의 시대와 맞짱 뜬 두 여성 배우의 이야기를 다룬 참신한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해영 감독은 작품 공개 후 대중의 반응을 접한 데 대해 "'올해 본 것 중에 제일 재밌었다, 넷플릭스에서 했던 것 중에 제일 재밌었다'는 그런 말들이 너무 감사했고 뜨겁게 와닿았다"며 기뻐했다.
지난 22일 6회 전편 공개된 넷플릭스 새 시리즈 '애마'는 1980년대 한국을 강타한 에로영화의 탄생 과정 속,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에 가려진 어두운 현실에 용감하게 맞짱 뜨는 톱스타 희란(이하늬 분)과 신인 배우 주애(방효린 분)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배우 이하늬와 방효린 진선규 조현철 등 배우들이 출연했으며, '천하장사 마돈나'(2006) '페스티발'(2010)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2015) '독전'(2018) '유령'(2023) 등 작품을 선보인 이해영 감독의 첫 드라마 집필·연출작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다.
'애마'는 이해영 감독이 20년간 품어온 이야기다. 이하늬와 방효린이 말을 타고 광화문 도로 한복판을 역주행하는 장면은 드라마의 시그니처가 될 만큼, 남성 중심의 사회와 권력을 향해 정면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여성 배우의 저항을 시각화하는 강렬한 연출을 보여줬다. 이해영 감독은 "그 장면을 하려고 이 이야기를 만들었다"고 했을 만큼, 이 장면이 지닌 상징성은 돋보였다. "처음 쓰고 연출하는 신인 작가, 신인 감독의 마음으로 돌아가 작업했다"는 이해영 감독을 만나 작품에 대한 비화를 더 들어봤다.
<【N인터뷰】 ①에 이어>
-방효린 배우 캐스팅 과정은 어땠는가.
▶처음에 기성 배우를 고민하지 않았던 건 아니었다. 하지만 막연히 주요 역할은 기성 배우가 연기하는 신인 배우가 아니라, 신인 배우가 자기 자신을 연기하는 느낌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신인 배우 중에서 찾고 싶었는데 쉽지 않았다. 오디션을 정말 많이 봤다. '독전' 때도 진서연 캐릭터를 위해 수도 없이 오디션을 봤지만, 이번에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역대급으로 가장 많은 배우를 본 오디션이었다. 하지만 마음을 움직이는 배우를 만나지 못했고, 중간에는 '내가 배우 운이 다 했나보다' '이번엔 진짜 못 찾나보다'라고 낙담하기도 했다. 그러다 방효린 배우가 막판에 주애가 곽 감독에게 나타난 것처럼 드라마틱하게 등장해줘서 감사했다.
-방효린 배우의 잠재력을 어떻게 봤나.
▶연기력에 반했다. 단순히 연기를 잘한다, 테크닉이 좋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녹여 캐릭터 연기를 할 줄 아는 배우였다는 게 컸다. 방효린이 연기하는 주애를 볼 때 방효린이 곧 주애라는 것이 너무 일치되는 느낌이었다. 젊은 배우들이 감정을 묶음으로 연기할 때가 있는데 대사 한 음절 한 음절을 꾹꾹 눌러 표현하는 기본기와 내공이 있었다. 유전자적으로 타고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극 중 시상식 이후 희란과 주애가 말을 타고 도로 한복판을 역주행하는 장면에 상징성이 담겨 있었나.
▶'애마'를 처음 기획할 때부터 있던, 시그니처 같은 장면이었다. 사실 그 장면을 하려고 이 이야기를 만들었다. 영화 '애마부인'의 시그니처는 바닷가 신이었다. 남성들의 성적 판타지와 완전히 반대로 하고 싶었다. 당시 총독부가 있던 시절, 남성적이고 권위적인 광화문 도로를 여성들이 말을 타고 역주행하는 이미지를 해보고 싶었다. 그것도 갖춰 입은 듯한 모습으로 달리게 하고 싶었다. 후련하고 통쾌한 장면이 될 거라 생각했다.
-실제로 광화문 앞에서 촬영했는가.
▶세종문화회관 앞은 거의 대부분 광화문에서 촬영했다. 하지만 도로를 직접 달릴 수는 없어서 그 장면은 세트에서 구현했다.
-작품 속 제작자와 감독 관계가 큰 축을 담당한다. 극 중 곽 감독(조현철 분)의 경우 이해영 감독의 경험과 생각이 투영됐을까.
▶(극 중 제작자의 말은) 나도 작업하면서 많이 들었던 얘기다. "돈 맛을 못 봐서 그래" "돈맛 보면 이런 거 못 쓰지" 같은 이야기도 들었다. 어떤 분은 제가 쓴 시나리오를 던지면서 "처음부터 한 페이지 넘길 때마다 웃기고 긴박하고, 웃기고 긴박하고 이렇게 써야 해"라고 했다.(웃음) '애마'를 쓸 때 구중호와 곽 감독의 관계에 나를 투영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완성하고 공개된 후 거리를 두고 보니 눈물이 났다. 곽 감독의 모습에 이입이 많이 됐다. 조현철이 연기를 잘해서이기도 하다.(웃음)
-감독으로서의 중심과 철칙은 지켜왔다고 생각했나.
▶노력했던 것 같다. 매 순간 희란이 곽 감독에게 말했던 것처럼, "감독 입장에서는 지킨 거야"라는 원칙은 지켰던 것 같다. 그걸 안 지켰다면 더 흥행 감독이 됐으려나.(웃음)
<【N인터뷰】 ③에 계속>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