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7일 남양주시 공공의료원 예정부지가 있는 호평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 현장 설명회'를 열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7일 남양주 혁신형 공공의료원 예정부지를 찾아 "2030년이 아닌 2028년 착공을 위해서 힘을 모아달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민생경제 현장 투어 '달달버스'를 통해 남양주 호평동을 방문하고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 현장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주광덕 남양주시장, 최민희 국회의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그는 설명회에서 "(공공의료원은) 내년부터 5년이 지나야 착공할 수 있다"며 "이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예타 면제나 제도 개선, BTL(임대형 민간투자사업) 신속 추진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예타 면제는 1년 반, BTL 과정도 신속 추진하면 1년 가까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면서 "계획대로 라면 1년 반에서 2년 반 정도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김 지사는 문재인정부 당시 경제부총리로 근무할 때인 2019년 전국 광역시도별로 2개 사업씩 예타 면제를 결정했던 경험이 있다. 최근 공공의료원 예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기재부 근무 시절 후배 공직자였던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예방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의료서비스는 생명과 건강, 안전이 달린 문제로 경제적 효율성을 따질 사안은 아니다"라며 "새 정부 정책 방향이 경제적 효율성에 앞서 사람 우선이니 이런 것(예타 면제)을 빨리 (결정)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남양주시에 신설하는 공공의료원은 호평동 백봉지구 종합의료시설부지 3만3800㎡에 300병상 이상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다. 소아·분만·응급 등 필수의료 기능 외에 돌봄의료서비스를 함께 제공한게 된다. 부지매입비를 제외하고 1591억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2030년 이후 착공, 2033년 완공예정이며 BTL사업으로 추진한다.


현장시찰에 나선 김 지사는 "이재명 대통령께서 정치를 하게 된 계기 중 하나가 성남의료원 문제였다"면서 "대통령, 중앙정부와 국회, 지방정부가 함께 빠른 시간에 (논의해) 의료원을 착공하고 준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