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특근거부·부분파업 돌입… 완성차업계, 판매량 급감
KGM·르노는 임단협 무분규 타결… 현대차·기아·GM한국사업장은 파업 위기
김창성 기자
공유하기
![]() |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노사 갈등을 겪고 있는 국내 완성차업체 세곳에 파업 분위기가 고조되며 판매량 감소 우려도 커지고 있다.
KG모빌리티와 로느코리아는 지난달 무분규로 임단협이 타결됐지만 현대자동차와 기아, GM(제너럴모터스)한국사업장은 임금 인상폭과 성과급 등에서 노사 의견차가 큰 상황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노사 임단협에서 아직까지 타협점을 찾지 못한 현대차·GM한국사업장은 이날부터 특근거부와 부분파업에 들어갔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달 25일 전체 조합원 4만2180명을 대상으로 파업 진행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를 모바일로 진행했다. 투표에는 3만9966명(투표율 94.75%)이 참여했으며 3만6341명이 파업에 찬성했다.
찬성률은 재적 대비 86.15%, 투표자 대비로는 90.92%다. 반대는 3625표(재적 대비 8.59%, 투표자 대비 9.07%), 기권은 2214표(5.25%)로 집계돼 압도적인 파업 찬성률을 얻었다.
현대차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지난해 순이익의 30% 성과급·상여금 900% 지급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금요일 4시간 단축 근무) ▲정년 만 60→ 64세 연장 ▲퇴직금 누진제 ▲퇴직자 전기차 최대 25% 할인 ▲통상임금 위로금 인당 2000만원 지급 등을 요구한다.
반면 현대차는 대미 수출 감소에 따른 영업이익 하락을 임단협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하며 기본급 8만7000원 인상, 성과급과 격려금 350%+1000만원 지급, 주식 10주 지급 등을 제시했다.
현대차 노조는 회사의 제시안을 거부하며 이날부터 주말 특근 중단을 통한 투쟁 기조를 이어가며 임단협 주도권을 쥐겠다는 각오다. 현대차 노사는 비공개 실무 교섭과 본교섭을 병행하며 의견차를 좁히기로 했지만 파업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다.
한국시장 철수설에 시달리고 있는 GM한국사업장도 노조가 강경 투쟁 의지를 보였다. 지난 7월 중앙노동위원회가 GM한국사업장 노사 임금협상 관련 쟁의 조정에서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려 쟁의권을 확보한 GM한국사업장 노조는 이날부터 사흘 동안 하루 4시간 부분 파업에 들어갔다.
GM한국사업장 노조는 올해 회사의 자산 매각 추진 반대를 비롯해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당기순이익의 15%에 해당하는 성과급을 요구한다. 회사 제시안과는 4000만원 이상의 차이를 보여 역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기아도 노사 임단협 진통을 겪고 있다. 기아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과 함께 지난해 영업이익의 30%에 달하는 3조8000억여원의 성과급을 조합원(전 종업원)에게 지급해 달라고 요구하며 회사와 갈등을 겪고 있다. 기아 노조는 파업 카드 언급 등을 자제하고 있지만 현대차 임단협 흐름을 주시하며 협상 수위를 조절하는 분위기다.
현대차·GM한국사업장 노조가 임단협 협상 주도권 잡기 위해 특근 거부와 부분 파업 카드를 꺼내면서 판매량 감소 우려가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리스크에 현대차·기아는 2분기(4~6월)에만 1조6000억원이 넘는 손실을 봤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시장에 총 49만9559대를 선적한 GM 한국사업장은 80%가 넘는 약 42만대가 미국 수출물량인 데다 내수 부진까지 지속돼 노조의 부분 파업은 생산량 감소와 판매량 감소로 확대될 조짐이다.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관세 리스크를 떠안은 회사 입장에선 최근 노란봉투법 시행까지 더해져 부담이 커졌다"며 "노사 임단협 입장차가 큰 만큼 합의점을 도출하는 데 적잖은 시간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