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딸 주애와 방중… 북한 백두혈통 '4대 세습' 굳히나
임한별 기자
공유하기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딸 주애 함께 전승절 80주년 기념식 참석 차 중국을 방문하자 북한 백두혈동 4대 세습 구도에 힘이 실리고 있다.
3일 뉴스1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2일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했다. 북한 매체는 김 위원장의 동선은 통상 하루이틀 여유를 두고 공개해 왔던 기존 관례와 달리 이번에는 김 위원장의 평양 출발과 국경 통과 소식을 신속히 보도했다. 주애를 따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전용열차 태양호에서 내린 김 위원장 뒤에 주애가 서 있는 사진을 공개했다.
김 위원장의 해외 일정에 주애가 함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애는 김 위원장이 2022년 11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시험발사를 현지지도할 때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등장했다. 등장 초기 주로 군사 관련 일정에 동행했지만 점차 민생 경제 관련 행보에도 함께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다.
주애는 2023년 북한 정권수립일(9·9절)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김 위원장 오른편에 착석했다. 당시 군부 핵심인 박정천 군정지도부장이 주애 앞에서 한쪽 무릎을 꿇고 귓속말하며 극진히 예우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후 주애는 지난 5월9일 최초로 공식 대외 외교행사에 등장했다. 러시아 전승절을 축하하기 위한 김 위원장의 평양 주재 대사관 방문 일정에 동행하면서다.
이번 김 위원장의 방중은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하기 위한 것으로 총 25개국 정상이 참가해 김 위원장의 다자무대 데뷔전이다. 당초 김 위원장이 다자무대 첫 참석 스포트라이트를 독차지하기 위해 아내와 딸을 대동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지만 세간의 에상은 빗나갔다.
주애의 존재감이 커지면서 이번 동행을 4대 세습의 포석으로 볼 여지가 더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전통적으로 후계자 내정 이후 중국 방문을 통해 지위를 공고히 하는 관행을 보여왔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주애는 내부 노출에서 해외 노출까지 함으로서 후계자 내정의 마지막 관문을 통과하고 있다"며 "아직 어려 당의 공식 직함을 받기까지는 7~8년이 소요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다만 대외적인 공식 절차에 돌입하지 않았다는 점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후계자 공식 선언, 직함 부여 등 후계자 지정의 핵심 요소가 빠져 있고 돌출변수 발생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로서는 여전히 확정 단계로 봐서는 안 된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임한별 기자
머니투데이 경제전문지 머니S 사진부 임한별 기자입니다.